양강도의 한 간부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18일 “국가적인 사업으로 유실된 농경지를 회복하기 위해 지난 2월 중순, 시, 군 당위원회들에 ‘새 땅 찾기 상무’가 조직되었다”며 “상무는 시, 군당 책임비서, 근로단체부장과 인민위원회, 농촌경리위원회 부위원장들, 국토관리부 부부장과 각 농장 초급당비서들로 구성되었다”고 밝혔다.
소식통은 “중앙에서 새 땅 찾기를 위해 상무까지 조직한 것은 그만큼 농경지 유실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라며 “국가 알곡 생산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새 땅을 찾아 유실된 농경지를 빨리 보충해야 한다는 것이 중앙의 의도”라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2019년, 함경북도에 대규모 온실 농장을 준공한 이후 함경남도와 평안남도에 연이어 온실농장이 들어서고, 지금도 평안북도에 온실 농장을 건설하고 있다”며 “여기다 2020년부터 농촌살림집 건설이 대대적으로 진행되고, 지난해부터 지방공업공장까지 건설하면서 지방의 많은 농경지가 훼손되거나 유실되었다”고 덧붙였다.
“특히 올해 전국의 모든 시, 군마다 지방공업공장 원료 기지를 조성하고 있는데 원료 기지 하나를 완공하려면 300정보(약 300ha)의 토지가 필요하다”며 “전국의 모든 원료 기지를 완공하려면 6만 정보의 토지가 있어야 한다”고 소식통은 강조했다.
소식통은 “이렇게 유실되거나 훼손된 토지를 보충하고 지방공업공장의 원료기지까지 완공하려면 농업기관이나 국토관리 기관의 힘으로는 부족했다”며 “새 땅 찾기를 보다 강력하고 통일적으로 내밀기 위해 중앙에서 ‘새 땅 찾기 상무’를 조직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