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김정은 총비서가 처음으로 밀·보리 농사를 강조한 것은 2021년 9월에 있었던 최고인민회의 제14기 5차회의 시정연설이었다. 이 연설에서 김 총비서는 종자 개량에 힘을 집중하며 밀·보리 파종 면적을 기존의 2배로 늘릴 것을 지시했다.
이후 북한 당국은 강냉이 재배 면적을 크게 줄이고 대신 밀·보리 면적을 압도적으로 늘렸는데 농민들 속에서는 이를 놓고 아직까지 설왕설래가 끊이질 않고 있다.
최근에는 김정은이 강냉이 농사를 포기하고 밀·보리 재배를 장려하게 된 배경까지 알려지면서 간부들조차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고 복수의 양강도 소식통들이 밝혔다.
양강도 농업부문의 한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18일 “지난 몇 년간 강냉이 밭을 다 뒤집어 엎고 밀·보리를 재배했는데 그 피해가 점차 드러나고 있다”며 “밀·보리는 종자 선별에 상당한 품이 들고 강냉이에 비해 생산량이 낮은데다 비료와 농약도 많이 들어 토양의 산성화를 재촉한다”고 전했다.
“이런 문제로 내각 농업위원회도 올해 밀·보리 농사를 크게 떠들지 않고 있다”며 “지난 2월 말, 각 도 농촌경리위원회들에 내려 보낸 ‘새해 농사 지침’에서 ‘밀·보리 재배가 강냉이 농사를 포기하자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까지 밝혔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소식통은 “김정은이 강냉이 대신 밀·보리 농사를 장려하게 된 배경은 더 이상 강냉이 도둑을 막아 낼 방법이 없다는 판단 때문이었다”면서 “강냉이를 포기하고 대신 밀·보리를 심게 한 김정은의 사연을 알만한 간부들은 다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