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은 반려식물을 키우고 있으며, 국내 시장 규모는 2조4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이 11일 내놓은 ‘반려식물 인구와 산업 규모 전국 단위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중 34%가 반려식물을 기른다고 답했다. 조사는 지역별 인구수에 비례해 전국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선정한 뒤 지난해 9월 현장 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반려식물 인구 수, 산업 규모 등의 정량적 지표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가 203명(37.2%)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77명(13.2%), 50대 84명(15%), 60대 이상 136명(34.6%)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식물을 기르는 장소(복수응답)는 실내가 90.2%, 마당 13.2%, 정원 10.7%, 숲 1.2% 순이다.
반려식물은 사람이 정서적으로 의지하려고 가까이에 두는 식물을 말한다.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키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공기정화와 인테리어뿐 아니라 우울감과 외로움을 줄여주는 정서적 치유를 위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시가 2023년 반려식물 보급사업에 참여한 고립·은둔청년 3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90.9%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또 참여 전·후를 비교해보니, 자기효능감은 평균 22.9점에서 30.2점으로 7.3점 상승하고, 우울감은 사업 참여 전 평균 21.2점에서 참여 후 14.8점으로 6.4점 낮아졌다. 최근엔 반려식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식집사’(식물+집사, 식물을 가족같이 돌보며 애정을 쏟는 사람들)란 신조어도 등장했다.
농진청은 반려식물 구매 비용과 기르는 기간, 식물 관리 비용을 추산한 결과 반려식물 산업 규모는 총 2조4215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식물 자체 산업 1조1856억원, 화분·배양토·영양제 등 관리에 필요한 연관 산업 시장 1조2359억원 등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반려식물 기르기가 단순 취미를 넘어 국민 생활문화 일부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며 “반려식물 기르기가 정서 안정에 주는 기대감이 큰 만큼 반려식물 산업의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