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위해 북한이 지원한 장사정포가 200문 이상이라고 한국 국방부가 11일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추가적인 병력·무기·탄약 지원이 가능하다고 군은 내다봤다.
이날 북한은 관영매체를 통해 미국의 핵 추진 잠수함 '알렉산드리아 함'(SSN)이 10일 처음으로 부산에 입항하자, 북한이 "상응하는 힘으로 견제하겠다"고 반발했다.
스탠가론 국장은 그러나 “북한이 다량의 포탄을 러시아에 제공하고 일부 정예 병력을 파견한 상황에서, 이번 반응을 단순한 말뿐인 위협으로만 볼 수는 없다”며 “특히 최근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가 북한의 잠수함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국 간 협력은 더욱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한 장사정포는 전황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겠지만, 북한이 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지원량을 뛰어넘는 포탄을 러시아에 공급한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포병 전력을 강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영토 장악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 연구원은 “러시아에 제공된 북한의 장사정포는 상당한 위력을 지니고 있으며, 북한의 다른 군사 지원과 함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군과 도시를 향한 파괴적인 공격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며 “이러한 포병 시스템은 현대 무기와 비교하면 노후화된 것이지만, 한반도에 처음 배치됐을 당시에는 상당한 위협으로 평가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