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973년부터 1993년까지 발간된 『인천시사』(총 5종 8책)를 디지털화해 시 전자책 누리집에 게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사업으로 1973년에 첫 발간된 『인천시사』부터 가장 최근에 발간된 『해양문화교류의 거점, 인천』까지, 인천시사 전권에 대한 디지털화 및 전자책 게시가 완료됐다.
인천시는 2023년부터 『인천광역시사』(2002~2024)와 『인천역사문화총서』(2003~2024)를 시 전자책 누리집을 통해 제공하며 온라인 열람 서비스를 본격화했다. 그러나 1973년부터 1993년 사이에 발간된 시사는 종이책 형태로만 존재해 시민들의 접근이 제한적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시는 고해상도 컬러 이미지 스캔과 이미지 보정을 통해 해당 도서를 디지털화하고 전자책으로 공개하게 됐으며, 시민들이 『인천시사』를 보다 간편하게 열람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추가 공개된 『인천시사』는 총 5종 8책으로, 『인천시사』 상·하(1973), 『인천시사 -70년대편-』(1982), 『인천개항 100년사』(1983), 『사진으로 본 인천개항 100년』(1983), 그리고 『인천시사』 상·중·하(1993)가 포함된다. 특히, 광역시 승격 전 발간된 시사의 표지와 발간사를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당시의 비전과 정책, 그리고 인천의 정체성을 엿볼 수 있어 흥미롭다.
시사의 표지에는 배를 움직일 때 사용하는 타륜 모양의 휘장이 새겨져 있으며, 이 휘장은 1965년에 제정돼 1995년 광역시 승격 직후까지 사용됐다. 휘장 외곽의 타륜은 항구도시 인천을, 내부의 톱니바퀴는 공업도시 인천을 상징한다. 발간사에는 대도시로 성장한 인천에 대한 자부심과 시사 편찬의 의의를 담고 있어 당시 인천의 비전을 생생히 느낄 수 있다.
“우리 인천은 인구 70만을 포옹(抱擁)하는 수도관문이며, 경인공업지대의 중핵도시로서 … 인천항 전면 독크화 건설공사가 이루어지면 … 경인선의 전철화 공사가 완공되면 국제도시로서의 면모를 보다 완벽하게 갖추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
- 197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