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임신, 난임 시술 등으로 고위험 산모가 늘고 있지만, 수도권 밖에선 병원과 의사가 모두 부족한 게 현실.
농어촌 등 분만 취약지에서는 도심 병원과 연계한 숙소 지원이나 병의원 간 진료 협력 체계를 대안으로 마련하고 있다.
갈수록 줄고 있는 산과 의사 확보도 시급하다.
전국 40개 의대 소속 산과 교수 128명 중 62%는 서울, 경기에 몰려있고, 교수가 되기 전 수련하는 산과 전임의는 전국에 12명뿐.
3년 전의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낮은 분만 수가에, 의료사고와 소송 위험이 주요 원인이다.
정부는 지난해 분만 수가를 올리고, 무과실 분만 사고엔 최대 3천만 원까지 국가가 지원하기로 했지만, 산과 기피 추세를 되돌리려면 보다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