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장에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장윤금 전 숙명여대 총장과 김지용 국민대 이사장, 설민신 한경국립대 교수가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모두 나오지 않았다.
장 전 총장과 김 이사장은 해외 출국을 이유로 들었다. 지난해와 같았다.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증인으로 채택만 되면 해외로 도주를 합니다. 이거는 국회를 정말 무시하는 처사입니다.”라고 말했다.
설 교수는 건강과 가정사 때문에 나오지 못한다고 했다. 이에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작년에는 해외를 22일 동안 출장을 간다는 핑계로 국감에 출석하지 않았습니다. 올해는 상세 불명의 우울증 에피소드입니다."라고 말했다.
여당 의원들은 건강상의 이유가 '개인 정보'라며 맞받았다.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개인정보법에서도 특정 개인의 건강 상태는 일반 정보가 아니라 엄중한 개인 정보입니다."라고 말했다.
우울증 환자들에게 사과하라는 발언도 나왔다.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야당 의원들이) 전국에 있는 모든 우울증 환자들한테 사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교육위는 야당의원 10명 모두 찬성하면서 설 교수에 대한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은 "의사의 소견서 한 장으로 모든 국정감사의 증인을 다 우리가 면죄부를 준다고 그러면 정말 우리 국회의 기능이 살아나겠습니까?"라고 말했다.
불출석 사유서도 내지 않은 장 전 총장에 대해서는 출석요구서를 다시 보냈지만, 사유서를 내고 해외로 간 김 이사장에 대해선 아무런 조치를 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