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인천 청라동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난 불은 꼬박 8시간 20분이 지나서야 꺼졌다.
주차된 전기차 한 대에서 불이 시작됐지만, 피해를 본 차량은 140여 대에 달했고 수백 세대가 단수와 단전 피해를 봤다.
피해가 컸던 만큼 이후 구제 절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피해 입주민들은 각자 가입한 자동차보험이나 아파트 단체화재보험을 통해 보상을 받을 거로 전망이다
이후엔 보상을 진행한 보험사가 화재 차주가 가입한 보험사에 구상권을 청구하는 절차가 이어진다.
화재 차주 보험사는 다시 차주나 자동차 제조사, 배터리 업체 등에 구상권을 청구하게 되는데
화재 원인에 따라 각자가 부담하는 배상금 액수가 달라질 전망이다.
문제는 화재로 차가 모두 타버려 정확한 원인 파악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정확한 책임 소재를 가리기 위해 이해 관계자들이 법정 다툼에 돌입할 가능성이 크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국과수의 조사가 들어가더라도 원인 파악하기 어려울 거에요. (온도가) 너무 높아서, 원인을 다 녹여버리기 때문에 원인 파악이 불가능해요."라고 말했다.
보험사 보장범위를 넘어가는 손해가 발생해 피해를 제대로 구제받지 못했다면, 입주민들 역시 집단 소송에 나설 수 있다.
유례가 없는 피해에 잘잘못을 따지는 일부터 쉽지 않은 만큼 현실적인 수준의 보상이 주어지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