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저녁 콩 모종을 심던 50대 여성이 엽사가 쏜 산탄총에 가슴을 맞아 숨졌다.
엽사는 이 여성을 멧돼지로 착각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이달 초 강원도 횡성에서도 유해조수 포획 활동을 하던 동료가 쏜 총에 맞아 크게 다쳤다.
수렵 과정에서 벌어진 총기 오인 사고는 최근 5년간 58건, 15명이 목숨을 잃었다.
우선 야생동물 포획 가능 지역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게 반복되는 사고 원인으로 꼽힌다.
멧돼지 등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접수되면 유해 조수 피해 방지단이 출동하는데, 군사나 문화재 보호구역 등을 제외하면 어디서나 포획이 가능.
수렵 면허 취득과정이 허술하다는 지적도 있다.
필기시험만 통과하면 수렵 강습을 받은 뒤 20발의 사격과 이론 교육 4시간만 받으면 면허를 딸 수 있다.
전문가들은 또 자치단체가 주민들에게 수렵 활동 구역과 기간을 사전에 알리는 등 안전대책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