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통무예 ‘택견’, 융·복합공연으로 세계인 홀린다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택견’과 ‘테크’의 융합공연 최훤
  • 기사등록 2016-03-14 18:00:41
기사수정




지난해 12월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공연장을 찾은 박근혜 대통령은 "전통 스포츠인 택견과 태권도가 케이팝이나 IT기술과 융합될 때 새로운 문화 콘텐츠로 잠재력이 충분하다”며 “이제 스포츠가 하나의 문화로 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2달여만인 3월 13일 대한택견회(문화체육관광부 산하)가 UV light 기술을 접목한 융·복합 공연 야심성유휘(夜深星愈輝)를 선보였다. 2011년 전 세계 무예 종목 가운데 최초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대한민국의 택견(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 세계 인류무형문화유산)이 융·복합 문화공연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공연에 사용된 UV light 기술은 위조지폐 감별 등에 사용되는 기술로 어둠 속에서 특수 소재에만 반응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일반적인 시범과 공연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신비로움과 역동감을 표현해 낸 작품이 바로 야심성유휘이다. 특별히 이번 융·복합공연을 위해 현 택견 최고수(전체급 통합 챔피언)인 정현재(27)와 이지수(25) 등 국가대표 택견 시범단원들이 직접 배우로 참여해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정부의 강력한 융·복합 추진 정책에 따라 융·복합이란 이름을 단 콘텐츠들이 줄줄이 탄생하고 있다. 대한택견회 장인재 과장은 "지금까지 많은 융·복합 공연들은 서로 어울리지 않는 한복과 탈 등이 등장하고, 해학적인 측면보다는 화려함만을 보여주는 것 같아 안타까웠다”며 “야심성유휘를 통해 앞이 보이지 않는 깜깜한 어둠 속에서도 결코 포기할 수 없었던, 갖은 탄압과 고통 속에서도 굳건히 지켜내고 아름답게 꽃피웠던 우리 민족의 ‘문화’를 이야기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일제강점기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킨다는 이유로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의해 사라질 위기에 처하기도 했었던 택견, 이제 융·복합 콘텐츠로 재탄생한 대한민국 전통문화 택견의 ‘멋’ 과 ‘흥’으로 세계인들과 '신명’나게 소통하길 기대해 본다.


전통액션 융합공연 야심성유휘는 ‘문화가 있는 날’ 공연과 다양한 문화 행사를 통해 만나 볼 수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429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아산시청소년재단, 청소년마을배움터 모니터링단 모집
  •  기사 이미지 예산군자원봉사센터, 2024년 우수자원봉사자 리더십 교육 개최
  •  기사 이미지 예산군농업기술센터, 하반기부터 임대 농업기계 운반 서비스 운영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