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기연, 경기도 고령친화마을 만들기 기초 연구 보고서 발간 김한구
  • 기사등록 2016-02-29 08:43:52
기사수정

경기연구원이 2015년 9월 10~25일간, 경기도민 55세 이상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경기도 고령친화형 마을만들기 기초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경기도의 장래 노인인구는 2040년 378만 명으로, 2014년 노인인구 122만 명보다 3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으며,기대수명에서 건강수명을 뺀 잔여수명 동안 노후질환으로 보내는 유병기간은 17년(남성 14.1년, 여성 19.6년)으로 전망돼 향후 노인 삶의 질이 악화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설문에 따르면 노인문제에 대한 대비책으로 고령(노인)친화마을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4.4%가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향후 20여 년간 노인인구가 3배 정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노후장소성을 감안하는 노인친화마을을 조성하는 대안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노후장소성(Aging in Place)은 노인이 살고 있는 장소나 마을에서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조사에서 노후생활을 보낼 장소로 노인 70.6%가 현재 거주주택, 실버타운 22.0%, 요양원 5.4%로 응답했으며, 노후장소와 연계하는 고령(노인)친화마을에 대해 응답자의 84.4%가 필요하다고 답해 ,고령친화마을 만들기를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복지 및 편의시설에 대한 조사에서 만족도는 종교시설(9.4)관공서(8.8)운동시설(8.7)공원(8.6)경로당-노인복지관(8.5)여가(8.2)판매시설․통행시설(8.0)의료시설(7.9) 순이며, 노인복지, 여가, 공원, 운동 분야에서 만족도를 강화하고, 보행환경을 개선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것.


또 응답자 74.8%는 대형마트, 소매점 등에서 주중에 노인에게 할인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그리고 현재 거주하는 주택의 일부 방 등을 다른 노인에게 공유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5.4%만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고, 주택공유 시 세입자로 거주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8.4%로 나타나 수입 대비 의료비나 주거비에 대한 지출이 부담되는 일부 노인에게만 주택 공유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연구원은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노후생활과 장소성 연계강화 ▲고령친화마을 만들기 추진 ▲향후 유관부서간 협업을 통해 실행계획 수립 ▲노후를 위한 보행환경 등 근린시설 개선과 정비 ▲건강, 여가 프로그램 확대를 위해 전문분야별 코디네이터 지원 ▲노노 주택공유 추진 ▲ 주중 노인할인 도입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황금회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노인인구 급증에 대비하여 노인친화마을을 만들고, 복지․생활시설 등을 대상으로 도시계획, 보건복지 유관부서와 협업해 고령친화마을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고령친화를 위해 경기도 고령친화점검단(안)을 운영할 것과 동질적인 노인생활권인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의 대도시권을 대상으로 가칭 수도권 노인 설문 공동조사를 제안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358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박정 의원,‘경기북부 특별자치도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발의
  •  기사 이미지 쇠채아재비
  •  기사 이미지 우크라이나 스칼프 미사일 러시아 연방을 공격, 프랑스서 허용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