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독도에서 신종 토양 곰팡이 처음 발견 - 그간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접합균류 신종 발견 주정비
  • 기사등록 2015-12-21 18:56:59
기사수정

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상배)은 이향범 전남대 교수팀과 함께 2013년 7월 독도에서 채취한 흙으로부터 새로운 미생물 곰팡이를 발견했다.


이번에 발견한 곰팡이 신종은 접합균류(Zygomycota)의 일종으로 독도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점을 기념하여 아브시디아 코리아나(Absidia koreana)라고 명명됐다. 또한, 해외 유명 균류 분야 학술지인 '국제균학회지(Fungal Diversity)' 특별호에 11월 6일에 발표되었다.


국제균학회지 특별호에는 전세계 64개 기관, 100여명 이상의 균학자가 발굴한 신종들을 발표한다.

이번 독도 신종 곰팡이의 발견은 우리나라의 새로운 생물자원을 탐색하는 '자생생물 조사·발굴사업'과 올해부터 2017년까지 3년간 진행하고 있는 '미개척 생물분류군 전문인력 양성사업' 2단계를 통해 얻은 성과다.


'미개척 생물분류군 전문인력 양성사업' 2단계는 접합균류를 비롯하여 조류(藻類), 지의류, 곤충류, 연갑류, 다모류, 태형동물류, 편형동물류 등 국내 미개척 8개 생물분류군 분야를 대상으로 총 3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독도에서 국내 미기록 균류가 발견된 적은 있으나, 신종은 이번에 처음이며 특히 미개척 분야인 접합균류에서의 발견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에서는 대형 균류인 버섯에만 연구가 집중되었고 접합균류와 같이 매우 작은 균류에 대해서는 전문가가 거의 없어 지금까지 25종만이 보고되었다.


접합균류는 전세계에서 지금까지 1,000여종 이상이 보고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뮤코(Mucor)와 라이조푸스(Rhizopus)류에서 추출되는 프로테아제, 셀룰라아제 등과 같은 물질은 단백질 또는 다당류 분해효소 생성 능력이 뛰어나 세제, 의료산업용 스테로이드 등으로 사용해 산업적인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독도 신종 곰팡이 역시 산업적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활용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044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