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경제가 경기침체 예고 속에 주요 7개국(G7) 가운데 처음으로 두 자릿수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영국 통계청은 현지시각 17일 7월 소비자 물가 지수가 작년 같은 달보다 10.1%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1982년 2월 이후 40여 년 만에 최고 기록을 세웠다.
이러한 상승률은 지난달 미국(8.5%), 이탈리아(7.9%), 캐나다(7.6%), 독일(7.5%), 프랑스(6.8%) 등 G7 국가들 가운데 가장 가파른 것이다.
그동안 전기·가스 등 에너지 요금이 물가를 끌어올렸으나 지난달엔 빵, 시리얼, 우유 등 밥상물가가 12.7%나 뛰면서 주요 견인차 구실을 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과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코로나19 여파 등이 겹친 결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전문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물가가 오른 데 따라 자칫하면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이 내놓은 연말 물가 상승률 13.3% 전망조차 희망 사항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의 시티은행은 내년 1분기 영국 물가상승률 15% 전망까지 내놨다.
한편 물가를 잡기 위해 잉글랜드은행이 지난달에 이어 이번에도 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