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군산시 하․폐수슬러지 자원화시설 전국 최고시설로 우뚝 -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에너지 재사용 진신권 본부장
  • 기사등록 2015-11-03 12:53:35
  • 수정 2015-11-03 13:01:21
기사수정


군산시가 운영하고 있는 하․폐수슬러지 자원화시설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전국 지자체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013년 12월 총사업비 262억을 투입하여 준공한 군산시 하․폐수슬러지 자원화시설은 1일 150톤의 하․폐수슬러지를 처리 할 수 있으며 함수율 80% 슬러지를 10%이하로 건조하는 시설로 최종건조 슬러지는 시멘트 회사에 연료로 판매하고 있다.


또한 군산시 하․폐수 자원화시설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자원화 순환계통을 구성하고 있어 하수처리장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주성분 CH4)를 이용하여 보일러를 가동하고 여기에서 생산한 증기를 이용해서 슬러지를 건조하며, 건조중에 발생된 건조 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소화조에 가온수를 공급하고 있다.


한마디로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에너지를 재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군산시의 하․폐수 자원화시설은 2013년 이전까지 슬러지매립처리비와 비교하면 년간 29억3천만원의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하수처리장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화석연료(LNG)를 대체해서 보일러를 가동함으로써 UN으로부터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인정받아 탄소배출권 확보가 가능하며, 군산시는 2015년 말까지 UN의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청정개발체제)에 전국 최초로 가입할 예정이다. CDM 제도란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분을 선진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지금까지 소화조 가온수 가동비용을 년간 5천만원을 절감하였을 뿐만 아니라 건조부산물 판매수익으로 7천만원을 벌어 지방재정 수익을 창출하였다.



군산시 하수과 문정만 계장은 현재 하․폐수슬러지 자원화시설을 운영중이거나 설치예정인 전국의 지자체나 관련 업체에서 벤치마킹을하고자 수시로 방문하여 시설을 운영하는데 방해가 될 정도라며, 담당 공무원으로 자부심을 느낀다며, 향후 우리시 관내 지방산단 및 국가산단에 소재한 업체에서 발생하는 하․폐수 슬러지 처리를 긍정적으로 검토 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831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쇠채아재비
  •  기사 이미지 우크라이나 스칼프 미사일 러시아 연방을 공격, 프랑스서 허용
  •  기사 이미지 북한 “‘오물풍선’ 1천여 개…살포 중단한다"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