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SKT, 설연휴 스팸/스미싱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법 안내 - 코로나19 장기화 및 설연휴 등 시기적 특성 이용한 사기 피해 급증 우려 - 모르는 번호로 걸려온 연락 주의하고 URL 클릭과 앱 설치 등 확인 필요 - T전화, T스팸필터링, 각종 백신 앱 설치 등 사전 예방 노력도 중요 강조 조기환
  • 기사등록 2022-01-28 12:51:23
기사수정


▲ 사진=SKT 공식홈페이지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 www.sktelecom.com)은 스팸 및 스미싱,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가 늘어나는 설연휴를 앞두고 고객의 주의를 당부했다.


통신사에서 2021년 스미싱 의심 URL이 포함된 문자를 차단한 건수가 1~3월에 연간 사례의 64%가 넘을 만큼 집중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2021년 월평균 건수의 2.6배가 넘는 스미싱 시도가 1~3월에 발생한 셈이다.


SKT는 “2021년 설 명절이 2월 12일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신년 초와 설 명절을 전후해 스미싱 사기 시도가 집중됐다”며, “이는 신년 새해 인사와 명절 택배가 많아지는 시기적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실제 최근 정부 발표에 따르면, 2021년 20만 여건의 스미싱 신고와 차단 건수 중 택배를 많이 주고받는 신년 초와 설 명절 등의 시기를 악용한 사례가 17만5천 여건으로 전체의 87%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각종 스미싱 사기 문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국민지원금 및 손실보상금 대상자 확인을 유도하거나, 코로나19 피해 회복을 위한 특별 대출상품을 미끼로 이용자를 속이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신년을 맞아 지인의 새해 인사를 가장한 문자를 보내거나, 설명절 선물을 택배로 배송했으니 확인하라고 유도하는 사기 사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SKT는 최근 스팸이나 스미싱, 보이스피싱 범죄집단이 조직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과 금융기관은 물론 수사기관까지 사칭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악성앱을 잘못 설치한 개인의 정보를 유출하거나 전화를 가로채 사기에 이용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7669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전쟁 후 우크라이나인 대신 수백만 명의 이주민 그들은 어디로 갈 것인가
  •  기사 이미지 박정 의원,‘경기북부 특별자치도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발의
  •  기사 이미지 쇠채아재비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