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인천지하철 개통 16주년, 대중교통 중심축으로 성장 - 2015년 10월 6일, 인천지하철 개통 16주년 이지혜
  • 기사등록 2015-10-05 16:29:17
기사수정


인천지하철은 1993년 7월 기공식을 하여 착공 6년만인 1999년 10월 6일 박촌역과 동막역을 이어주는 21개역 20.4km가 개통되었고, 같은 해 12월 귤현역, 2007년 3월 계양역, 2009년 6월 송도연장선 6개역이 개통되어 현재는 29개역 29.4km를 운행하고 있다.


인천지하철의 하루 평균 운행거리는 개통 당시 6,316km에서 현재 8,982km로 약 1.4개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03년 누적 운행거리 1천만km돌파를 시작으로 금년 9월에는 4천 3백만km를 돌파했다. 이는 지구 둘레를 약 1,000바퀴, 지구에서 달까지 약 55번을 왕복한 거리다.


개통 초기 하루 평균 수송인원 13만 5천명, 연간 운수수입 266억여 원 수준이던 것이 2014년 기준 수송인원 27만 7천명, 운수수입 727억여 원으로 2배 이상 성장했다. 2014년 12월에는 연간 수송인원 1억명을 돌파했고, 송도신도시 6개역은 매년 40~50%씩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


공사는 절대 안전을 제1의 가치로 삼고, 골든타임(5분) 목표제 도입, 임원진 참여 현장 밀착형 안전훈련 강화 전 직원 심폐소생술 교육 등을 통해 실질적 비상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선제적 예방정비 시스템을 강화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천지하철에는 개통 이후 현재까지 단 한 건의 대형 열차사고도 없었고, 2015년 기준 5분 이상 운행 장애 건수 Zero라는 성과를 거뒀다.


이와 함께 수송원가(1,708원)에 못 미치는 1인당 평균운임(756원) 등으로 누적되는 운영적자를 자구노력으로 해결하기 위해 전사적 Rail Marketing을 통한 광고․임대수익 창출, 자린고비 비용 절감을 통한 짠물 경영, 타 도시 도시철도 운영기관들과 함께 인구 고령화로 인해 급증하는 무임수송에 따른 운임손실 해결방안 모색을 통한 경영 합리화를 도모함은 물론, 인천의 관광․쇼핑 명소와 도시철도 등 대중교통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인천교통공사 이정호사장은 “인천지하철이 지난 16년간 무사고운행을 기록한 것은 시민들의 관심과 격려 덕분이며 앞으로도 안전운행 정시운행으로 시민께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734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