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최춘식의원, “남북 통신선 복원 한미훈련 중단 대가?...대가성 없는 대화 전제해야” 김민수
  • 기사등록 2021-08-04 09:06:51
기사수정



국민의힘 최춘식 의원 4일 성명서를 통해 북측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통신선 복원 합의가 이뤄진지 불과 나흘만에 우리 정부에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결정하라고 압박한 것을 두고, ‘통신선 복원이 훈련 중단 등을 위한 대가가 되어서는 안되며 문재인 정부는 수동적 행태를 버리고 대가성이 없는 남북간 대화를 확실히 전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는 북한이 지난해 6 9일 대북 전단 문제로 모든 통신선을 일방적으로 차단한지 413일만인 7 27일 북측과 통신선 복원을 합의했다.

 

하지만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복원 합의 후 불과 나흘이 지난 8 1일 우리 정부에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결정하라고 압박하면서, ‘통신선 복원 단절됐던 것을 물리적으로 다시 연결시켜놓은 것뿐이며 그 이상 의미는 없다고 평가절하했다.

 

북측은 통신선을 끊은 뒤 개성 연락사무소 폭파’, ‘사이버 해킹’,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지속적으로 이어간 상황에서 현재까지 그 어떠한 사과도 없는 상황이다.

 

국회 최 의원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남북간의 대화는 필요하다면서도 문재인 정부가 우리 측 피해에 대해 사과 한마디 못 받으면서 통신선을 복원시킨 것이나,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 이후 한미연합훈련 연기에 대해 고심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자면, 주도권 없이 제 목소리도 못내고 북측에 끌려다니는 수동적, 피동적인 정부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통신선 복원 합의 이전에 개성 연락사무소 폭파에 따른 우리 측 경제적 손실에 대한 보상은 둘째치더라도, 최소한 북측으로부터 지금까지 자행해온 북측 도발에 대한 진정성 어린 사과를 반드시 받았어야 했고, ‘한미연합훈련 중단 요구  대가성은 일체 없어야 한다는 것도 사전에 확실히 전제했어야 했다 상식적으로 그런 사과 한마디와 대가성이 없다는 전제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어떻게 남북간의 대화가 제대로 이뤄져 실질적 비핵화와 평화를 이루겠냐고 반문했다.

 

실제 정치권에서는 북측의 진정성이 결여된 상황에서 통신선 복원을 상호 합의한 것은 내년 대선을 앞둔 정치쇼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 의원은 통신선 복원이라는 계기가 북측에 퍼주기 용도 위장 평화쇼의 도구로 쓰여서는 안 된다 문재인 정부는 향후 그 어떤 상황에서라도 통신선 복원이 오로지 한반도의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모색하는 단초로 역할해야 한다는 것을 확실히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6399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우크라이나, 미사일 위협으로 인해 여러 지역에 공습 경보가 발령되었다.
  •  기사 이미지 러시아에서 드론 공격에 군용 비행장 화재
  •  기사 이미지 北 "김정은 안들어왔으니 나가달라" 정상회담장서 내쫓긴 러 수행단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