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7일부터 철도운전·관제 면허시험 “디지털 방식 도입” - 기존 지필시험→컴퓨터 기반시험(CBT) 전환…편의성·효율성 확대 추현욱 사회2부 기자
  • 기사등록 2021-07-11 11:57:38
기사수정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권용복)은 철도차량 운전업무종사자 및 철도교통 관제사 면허취득을 위한 필기시험을 기존 지필시험(PBT, Paper Based Test)에서 컴퓨터 기반시험(CBT, Computer Based Test)으로 전환하여 지난 7일부터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CBT방식에서는 시험문제의 배포, 채점, 결과집계 등 전 시험과정이 디지털방식으로 실시간 처리되어 시험의 공정성 확보는 물론, 시험 종료 즉시 합격여부를 확인 할 수 있어 응시자 편의성이 대폭 확대되었으며, 기존 시험방식에서는 1회 평균 700여명의 전국 응시생이 1개 지역 시험장소에 집합하여 응시하였으나, 이제는 서울, 경기 등 전국 8개 공단 지역본부에 시험장이 마련되고, 또한 시험 횟수도 연 8회에서 20회 이상으로 확대되어 응시생이 선호하는 시험일자와 장소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통안전공단은 CBT방식 도입 전, 지역별 교육훈련기관에 안내자료 배포, 모의 테스트(4회), 의견수렴 등을 실시하였고, 시행초기에 진행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이례사항 등에 대비할 계획이며, CBT시스템 운영상태, 지역별 응시현황 등 CBT시행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개선사항을 발굴하고, 필요 시 시험장 추가 및 연간 시험횟수 확대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CBT 시행에 맞추어 기존 단순 암기식문제 출제방식 외 철도운전·관제업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유형, 인적오류, 비상조치에 관한 사례형 문제출제를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훈련단계부터 응시생들이 철도사고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지식·기술의 습득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하고, 향후 현장업무에서 사고발생 시 대처능력 향상과 인적실수에 따른 사고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강희업 철도안전정책관은 “이번 시험방식 개편을 통해 철도운전·관제자격을 준비하는 교육훈련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면허시험에 준비할 수 있고, 디지털방식의 도입을 통해 시험의 공정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전문성을 지닌 철도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자격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아가겠다”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6222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  기사 이미지 경력단절여성, “양성평등 활동가로의 새로운 시작 기대”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