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재활용품목 가격하락으로 불확실성 증가, 지원대책 확대 추진
  • 김흥식 본부장[환경부=세종]
  • 등록 2020-07-18 09:03:28

기사수정
  • 플라스틱 재생원료 단가하락으로 시장 불안정화, 가격연동제 등 확대 추진
  • 가격연동제 전국 확대 적용시(40% 매입가격 인하) 1월 수준 수익 회복
  • 수거거부, 담합행위 등 국민생활 불편 초래행위에는 단호히 대처


▲ 환경부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최근 재활용시장 현황과 관련하여, 수거·선별 및 재활용업체 등 관련 업계의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국환경공단에서 10개 재활용품 수거업체를 대상으로 ‘20 1월과 6월의 재활용품 가격 및 수익성을 분석한 결과, 수거업체가 선별업체에 판매하는 재활용품 판매가격은 ’201월 대비 킬로그램당 19.9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재활용품 판매가격: (‘20.1) 108.8/kg (6) 88.9/kg

 

다만, 환경부가 각 지자체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공동주택(아파트) 재활용품 가격연동제*에 따라, 수거업체가 공동주택에 지불하는 매입가격은 전국 평균 6.50원 인하**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 실제로 수거업체의 부담은 재활용품 판매가격이 13.4원 인하된 것과 같은 상황이다.

 

* 수거업체가 공동주택(아파트)에 지불하는 재활용품 가격이 시장상황을 반영하여 변동되도록 하는 제도

** 전국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 31.9% 연동제 적용, 평균 41.6% 인하율 전국 평균 13.27% (= 6.50) 인하 효과로 계산 (평균 재활용품 수거가격 49/kg)

 

코로나19 영향 및 유가하락 등으로 올해 3월부터 적체 우려가 제기되었던 폐플라스틱 재생원료의 경우 킬로그램당 PET(850630), PP(751674), PE(974801) 각각 작년 대비 가격이 하락하였으나,

 

공공비축, 수입제한 등 적체방지대책을 추진한 결과 플라스틱 재생원료 유통량은 2019년 평균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다.

 

 

 

< </span>재활용 품목별 시장 동향 >

 

 

 

폐지 코로나19 확산 이후 미국·유럽연합의 폐지 수출물량 감소로 인해 국내 수출물량(베트남·인니 등) 증가, 가격 점진적 회복세

 

폐의류코로나19 확산으로 주요 수출국(인도, 캄보디아 등) 국경 통제로 수출량(재사용 용도) 감소하였으나 최근 수출물량(단가) 회복 중

 

폐비닐선별장 보관량이 19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지속 유지 중이며, 폐비닐로 만들어지는 고형연료(SRF)의 판매량이 다소 감소중

 

폐플라스틱유가하락,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위축·수출둔화, 포장폐기물 증가 등 복합적 요인으로 재생원료 공급과잉

 

- (페트, PET) 신재PET 가격 하락, 일본산 재생PET 원료가 저가로 거래됨 따라 국내업체도 수출(베트남 등) 유지 위해 단가 인하

 

- (폴리에틸렌, PE) 하수관으로 주로 재생되며, 최근 중국 인프라 건설수요 회복으로 최저점을 지나 판매량·단가 동반 상승 중

 

- (폴리프로필렌, PP) 자동차 소재(범퍼, 내장재 등)로 주로 재생되며, 최근 자동차 산업이 회복되는 추세로 생산량·단가 상승세 전환

 

재활용품목 가격하락이 지속되면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어 관련업계는 취급품목 가격변동 등 시장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한 동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7.1) 국내 최대 PET 재활용업체 등이 선별업체로부터의 매입단가 인하를 통보하면서 선별업체는 수거업체 매입단가를 연달아 인하하거나 수익성이 없는 혼합플라스틱 반입 제한을 예고하였으나, 7.13일 상기 재활용업체 등이 매입단가 인하를 철회하면서 시장은 다소 진정되는 분위기이다.

 

환경부는 이러한 재활용시장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속 악화될 가능성에 비하여 업계에 대한 실질적 지원방안을 강구해 나갈 예정이다.

 

우선, 재활용시장 안정화 대책으로서 4.22일에 권고한 바 있는 가격연동제를 최대한 확대 적용하여 재활용품목 수거비용을 낮추고, 공동주택 분리배출을 인력을 지원하여 잔재물을 최소화하는 한편,

 

공공·민간선별장 자원관리도우미 지원, 페트병 외 페트류 플라스틱에 대한 선별비용 지원 확대, 융자지원(900) 공공비축 창고 3

프로필이미지

김흥식 본부장[환경부=세종]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리얼시그널' 웹사이트...부동산, 예금, 주식, 가상자산 보유 현황 확인 (사진=네이버db)[뉴스21 통신=추현욱 ]고위 공직자들의 실제 부동산 보유 현황을 보여주는 웹사이트가 등장해 눈길을 끈다.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자료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서비스 '리얼시그널'이 그것이다.리얼시그널에는 대통령, 국회의원, 장·차관, 고위 법관 및 검사, 군 장성 등 약 7000명의 자산 내역이 담겨 있..
  2. 태광그룹, 애경산업 지분 63% 4700억원에 인수...매매 예정일자, 내년 2월 19일 [뉴스21 통신=추현욱 ] 태광산업 컨소시엄이 4700억원에 애경산업을 인수한다.AK홀딩스와 태광산업 등은 각각 이사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주권 양수도 방안을 승인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매각 대상 주식은 애경산업 보통주 1667만2578주다. AK홀딩스 보유주식 1190만4812주와 애경자산관리 보유주식 476만7766주다.이는 애경산업 전체 발행주...
  3. 제천 S목욕탕 여탕 냉탕서도 ‘인분’…남탕 이어 위생 논란 확산 충북 제천의 한 목욕탕 입구에서 대변을 본 혐의로 40대 남성이 입건된 가운데, 같은 지역의 또 다른 목욕탕에서도 인분이 반복적으로 발견돼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제천시 청전동의 S 목욕탕을 이용 중인 A(여) 씨는 “최근 냉탕에서 인분이 떠다니는 일이 잇따랐다”며 “지금까지 8차례나 이런 일이 있었지만, 누가 그런 짓을 ...
  4. 제천시, 11월 3일부터 자체 경제활력지원금 지급 시작 충북 제천시가 지역 내 소비 촉진과 경기 회복을 위해 ‘제천시 자체 경제활력 지원금’을 오는 11월 3일부터 지급한다.지원금은 제천시민 1인당 20만 원, 기초생활 보장 수급자·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 등 취약계층은 30만 원이 지급된다.지급대상은 10월 10일 기준 제천시에 주민등록이 있는 시민, 그리고 제천에 체류 중인 결.
  5. 파주시, ‘제7회 운정호수공원 불꽃축제’ 11월 1일 개최 파주시는 오는 11월 1일 오후 2시부터 8시까지 운정호수공원 일원에서 ‘제7회 운정호수공원 불꽃축제’를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올해 불꽃축제는 다양한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되며, 오후 7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7시 35분 ‘불꽃쇼’와 ‘불빛정원’이 이어 진행될 예정이다.파주시는 시민안전을 최우선으로 .
  6. 몸속의 불멸 코드 — 2025 노벨의학상이 밝힌 '면역의 오해' [뉴스21 통신=홍판곤 ]2025년 10월 6일,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포럼에서 노벨위원회는 올해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메리 E. 브룬코우, 프레드릭 J. 램스델, 시키몬 사카구치 세 명을 선정했다. 그들이 밝혀낸 것은 우리 몸속의 '면역 브레이크', 즉 조절 T세포였다. 면역은 단순히 싸우는 기능이 아니라, 싸움을 멈출 줄 아는 지혜를 ...
  7. 삼성전자 목표주가 15만원으로 상향...“실적 모멘텀 2026년까지 이어진다” 삼성전자에 대한 증권가의 기대감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KB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잇따라 목표주가를 15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면서, 2026년까지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31일 KB증권은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기존 13만원에서 15만원으...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