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광주시 2014년 인권지표 개선 - 쾌적한 환경과 안전한 도시’ 만족도 높게 나타나 곽상원
  • 기사등록 2015-05-21 10:31:00
기사수정

광주광역시는 인권지표 평가 결과 지난해 광주시의 인권 수준이 전년도에 비해 평균 6.0% 개선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광주인권헌장’이 시민생활 속에 뿌리내려 실질적으로 인권증진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5대 영역 18대 실천과제의 광주 인권지표를 대상으로 자체 실시한 것이다.

 

대상은 98개 지표로 2014년 인권지표 실천 결과를 전년 대비로 환산해 측정했다.
   - 개선율 산출방법 : (2014년도 값-2013년도 값)/2013년도값 ×100

 

5대 영역에서는 ‘쾌적한 환경과 안전한 도시’ 영역이 13.9%로 2013년에 이어 개선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를 창조하고 연대하는  도시’ 영역이 11.5%, ‘사회적 약자와 함께 하는 따뜻한 도시’ 영역이 6.4%, ‘자유롭게 소통하고 참여하는 도시’ 영역이 2.6%의 개선율을 보여, -4.8% 개선율을 보인 ‘행복한 삶을 실현하는 도시’ 영역을 제외한 4대 인권 영역에서 개선 폭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 평가대상 지표 98개 가운데 72개 지표가 전년 대비 개선됐으며, 26 개의 지표는 개선율이 감소됐다.

 

특히 ‘쾌적한 환경과 안전도시’ 영역은 2014년 불량식품 근절을 위한 식품제조가공업소 등의 위생관리 강화 등으로 부적합 제품 검출 건수가 감소해 유통식품 안전성 확보율(+65%)이 크게 개선된 것에 영향을 받아 이번 평가에도 가장 높은 13.9% 개선율을 보였다.

 

‘문화를 창조하고 연대하는 도시’ 영역은 지난해 6.3% 개선율에서 올해는 11.5%의 개선율로 크게 향상됐는데, 이는 문화·여행·스포츠 관람 3개 이용권의 단일화 및 전년 대비 국비 증가 등으로 인해 소외계층 문화 활동 수혜율이 크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반면 ‘행복한 삶을 실현하는 도시’ 영역은 전년 대비 4.9% 감소됐으며, 이는 법정 감염병 감염자 수, 노인치매 조기검진 수검률, 재개발 재건축불량 주택률의 지표 값이 크게 작용했다.

 

이경률 시 인권평화협력관은 이번 평가에 대해 “수치상 증가의 개선율이 광주시 전체 인권개선의 필수적 증거는 아니다.”라고 말하면서도 “각각의 지표 값이 해마다 개선되고 있는 것은 그동안 광주시의 인권개선 노력이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협력관은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한 지표에 대한 원인 분석과 정책이 필요하다.”라며 “올해도 100대 개선지표를 확정하는 등 시민의 인권적 요구에 맞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도록 인권지표를 보완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광주시는 국내외 도시 단위에서는 처음으로 지난 2012년 인권지표를 발굴해 실천해오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191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아산시장 “스웨덴식 평생학습 체계, 아산에 접목하겠다”
  •  기사 이미지 예산군 삽교읍, 자율방재단과 생태공원 산책로 예초작업 실시
  •  기사 이미지 예산군보건소, 중년 여성 한의약 갱년기 예방교실 운영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