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랑이라고 거드는 게 아녀
그 양반 빠른 거야 근동 사람들이 다 알았지
면내에서 오토바이도 그 중 먼저 샀고
달리기를 잘해서 군수한테 송아지도 탔으니까
죽는 거까지 남보다 앞선 게 섭섭하지만
어쩔 거여
박복한 팔자 탓이지
읍내 양지다방에서 맞선 보던 날
나는 사카린도 안 넣었는데
그 뜨건 커피를 단숨에 털어 넣더라니까
그러더니 오토바이에 시동부터 걸더라고
번갯불에 도롱이 말릴 양반이었지
겨우 이름 석자 물어 본 게 단데 말이여
그래서 저 남자가 날 퇴짜 놓는구나 생각하고 있는데
어서 타라는 거여
망설이고 있으니까
번쩍 안아서 태우더라고
뱃살이며 가슴이 출렁출렁하데
처녀적에도 내가 좀 푸짐했거든
월산 뒷덜미로 몰고 가더니
밀밭에다 오토바이를 팽개치더라고
자갈길에 젖가슴이 치근대니까
피가 쏠렸던가 봐
치마가 훌러덩 뒤집혀
얼굴을 덮더라고
그 순간 이게 이녁의 운명이구나 싶었지
부끄러워서 두 눈을 꼭 감고 있었는데
정말 빠르더라고
외마디 비명 한번에 끝장이 났다니까
꽃무늬 치마를 입은 게 다행이었지
풀물 핏물 찍어내며 훌쩍거리고 있으니까
먼 산에다 대고 그러는 거여
시집가려고 나온 거 아녔냐고
눈물 닦고 훔쳐보니까 불한당 같은 불곰 한 마리가 밀 이삭만 씹고 있더라니까
내 인생을 통째로 넘어뜨린
그 어마어마한 역사가 한 순간에 끝장나다니
하늘이 밀밭처럼 노랗더라니까
내 매무새가 꼭 누룩에 빠진 흰 쌀밥 같았지
얼마나 빨랐던지 그때까지도 오토바이 뒷바퀴가 하늘을 향해 따그르르 돌아가고 있더라니까
죽을 때까지 그 버릇 못 고치고 갔어
덕분에 그 양반 바람 한번 안 피웠어
가정용도 안되는 걸
어디 가서 상업적으로 써 먹겠어
정말 날랜 양반이었지
이정록(1964~)
충남 홍성 태생
시인, 고교 교사
<감상/조용숙>
이 시 참 재밌습니다.
어쩌면 시인은 이토록 슬픈 이야기를 역설적으로 풀어낼 수 있었을까요?
우리 인생도 이랬으면 좋겠습니다.
“신랑이라고 거드는 게 아녀. 그 양반 빠른 거야 근동 사람들이 다 알았지”
1연에서는
일찍 저 세상으로 간 신랑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돌아가신 분이 성격이 참 급했나 봅니다. 그러고 보니 일찍 가시는 분들은 뭔지 모르게 급하게 서두르는 부분이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2연은 두 분이 인연을 맺게 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얼마나 급했으면 뜨거운 커피를 단숨에 털어 마시고 오토바이에 맞선녀를 번쩍 안아서 태웠을까요. 오토바이에 태웠으니 남정네의 등에 여자의 가슴이 스치면서 젊은 혈기에 확 불을 싸 지른 것 같습니다. 얼마나 참기 힘들었을까요.
그것도 바야흐로 봄날인데 말입니다.
“부끄러워서 두 눈을 꼭 감고 있었는데 정말 빠르더라고 외마디 비명 한번에 끝장이 났다니까”
“눈물 닦고 훔쳐보니까 불한당 같은 불곰 한 마리가 밀 이삭만 씹고 있더라니까”
“내 인생을 통째로 넘어뜨린
그 어마어마한 역사가 한 순간에 끝장나다니”
정말 한 순간에 모든 운명이 결정되고 마는 순간이 2연에서 펼쳐지는데 1연에서의 슬픔의 정조는 어디론가 다 사라지고 읽는 내내 웃음이 비죽비죽 새 나오게 만드는 서사입니다.
그런데 말이지요.
마지막 3연은 더 절창입니다.
“얼마나 빨랐던지 그때까지도 오토바이 뒷바퀴가 하늘을 향해 따그르르 돌아가고 있더라니까”
얼마나 빨리 끝났으면
일이 다 끝나고 난 다음에도 오토바이 뒷바퀴가 하늘을 향해 따그르르 돌아가고 있었을까요?
그야말로 절묘한 묘사입니다.
그런데 바로 이어서
“죽을 때까지 그 버릇 못 고치고 갔어” 가 나옵니다.
분명 슬픈 이야기인데 어쩜 이렇게 슬픔을 웃음으로 단박에 바꿔칠 수 있는 걸까요?
거의 마술처럼 슬픔과 웃음이 교차되고 있습니다.
웃음 마술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덕분에 그 양반 바람 한번 안 피웠어 가정용도 안되는 걸 어디 가서 상업적으로 써 먹겠어 정말 날랜 양반이었지”
워낙 첫 행사를 빨리 끝내신 양반이라서 바람 한 번 피울 여력이 없으셨겠지요.
그런데 가정용도 안되었으니 어떻게 상업용이 되었겠냐는 말에 또 한 번 웃음이 터집니다.
그리고 마무리는 정말 날랜 양반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사랑하는 남편을 빨리 보낼 수 밖에 없었는데 이렇게 슬픔을 웃음으로 승화시키는 힘이라니 정말 놀랍지 않습니까?
내공으로 가득찬 시인의 넉살 때문에 많이 웃었습니다.
중구, 2025년 하반기 종갓집 정책자문단 행정자치 분과위원회 회의 개최
사진=중구청제공[뉴스21 통신=김보미 ]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28일 중구청 중회의실에서 2025년 하반기 종갓집 정책자문단 행정자치 분과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행정자치 분과위원회 위원 및 관계 공무원 등 11명이 참석해 행정지원국의 주요 시책을 살펴보고 구정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양주시, 2025년 민방위 보충 2차 교육 실시
양주시가 오는 11월 3일부터 민방위 교육 미이수 대원을 대상으로 민방위 보충 2차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민방위 제도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화재 초기진화 및 대피요령 ▲화생방 방호요령 및 방독면 착용법 등 유사시 실전 역량 강화를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1~2년차 민방위 대원은 오는 11월 3일부터 14일까지 실...
2025년 제2회 양주시 반려동물 문화축제 성황리 개최
양주시가 최근 옥정동 선돌근린공원에서 ‘제2회 양주시 반려동물 문화축제’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축제는 반려동물 보호자와 시민이 함께 즐기고 배우며, 반려동물 관련 업계과 단체가 교류하는 ‘반려동물 친화도시 양주’ 실현을 위해 마련됐다. 축제에는 양주시민과 반려인 가족 등 약 4,000여 명이 참여해 즐...
“이웃 안부 함께 살펴요”…중구종합사회복지관, ‘안부확인 봉사단’ 간담회 진행
사진=중구청제공[뉴스21 통신=김보미 ]울산중구종합사회복지관(관장 홍관표)이 10월 28일 오전 9시 울산중구종합사회복지관 분관 도서관에서 ‘안부확인 봉사단’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권 교육을 듣고 다용도 바구니 만들기 체험 등을 하며 서로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가평군,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재개
가평군은 국정자원관리원 화재로 일시 중단됐던 집적회로(IC) 주민등록증 발급 서비스를 28일 오전 9시부터 정상적으로 재개했다고 밝혔다. IC 주민등록증은 기존 주민등록증과 형태는 같지만,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편의를 위해 IC칩이 내장된 것이 특징이다. 가까운 읍면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면 신규 발급과 재발급 모두 가능하다. 특히...
가평군, 급수 취약지역에 ‘깨끗한 물’ 공급 확대
가평군이 상수도 미공급 지역의 물 복지를 강화하기 위해 지방상수도 확장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군에 따르면, 개인 지하수나 소규모 급수시설에 의존하는 일부 지역에서 수질 저하와 수량 부족 문제가 지속되자, 올해 45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상수도 기반 확충에 나섰다. 이번 사업은 상수관로 15.6㎞ 신설과 가압펌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