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 '토인비'가 지은 책 '挑戰과 應戰'은 의미심장한 책이다.
'토인비'는 그 책에서 자연 조건이 양호한 환경에서는 인류 문명이 태어나지 않았고 거친 환경, 가혹한 환경에서 이루어졌음을 밝혀주고 있다.
고대 문명과 세계 종교의 발상지들은 모두 광야 같은 안 좋은 땅이었다.
이집트 문명을 일으킨 민족은 아프리카의 북쪽에서 수렵 생활을 하면서 지내고 있던 이들이었다.
지금부터 5, 6천 년 전이었다. 강우전선이 북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아프리카 북쪽이 모두 사막 지대로 변하게 되자 세 부족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그 자리에 남아서 그냥 그대로 살아간 부족의 사라져 버렸다.
그러나 맹수와 독사가 우글거리는 나일강 지역으로 이주하여 농경과 목축, 어업으로 생활 방식을 바꾼 부족들이 찬란한 이집트 문명을 만들어 냈다. 나일강의 범람 시기를 알아내기 위해 천문학과 태양력을, 강물이 범람하였다가 물이 빠지면 온통 쑥밭이 된 토지를 나누기 위하여 기하학과 측량술을, 강의 범람을 막기 위하여 제방술과 축대를 쌓는 기술이 발달하였고, 기술을 이용하여 불가사의의 피라미드를 만들어냈다. 거친 환경이 유능한 문화를 만들었다.
중국 문명도 마찬가지다. 중국엔 양자강과 황하강이라는 유명한 두 강이 있다. 양자강 유역은 기후가 온화하였다. 강도 범람하지 않아 주변 사람들은 살기좋고 편안하였다. 그러나 황하강은 쿤룬산맥에서 발원하여 발해만으로 흐르고 있다. 혹독한 추위에서 겨울이면 얼어붙어서 배가 다닐 수 없었다. 해마다 범람하여 수많은 인명을 빼앗았다 그러한 거친 환경과 싸우다 보니 황하강 문명이 발달하게 되었다.
민족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에서 가장 거친 환경에서 살아온 민족은 유대인이다. 70년 7월 9일 나라를 빼앗겠다가 1948년 5월 14일 독립할 때까지 1,900년간 이곳저곳 쫓겨 다니며 나라 없는 고통을 당해야 했다. 심지어는 유대인을 잡아서 총연습을 했고, 총알 하나로 몇 명을 죽일 수 있는지 일렬로 세워놓고 총을 쏘는 실험을 하기도 하였다. 히틀러는 600만 명을 학살하였다.
온 세계가 유대인을 박해할 때에 유대인을 품어준 나라가 미국밖에 없었다. 2차 대전 후 몰려드는 유대인들에게 미국은 허드슨 강변을 내주었다. 험악하고 최악의 조건인 거친 환경의 땅이었다. 유대인들은 옹벽을 쌓아서 허드슨강이 범람하는 것을 막았다. 그리고 금융업을 시작하여서 지금온 세계 금융의 중심지가 되었는데 이곳이 지금의 월가이다.
한 부자가 있었다. 그 부자는 무인도 하나를 구입하였다. 그리고 나무를 잘 심어서 꽃도 여기저기 심어 아름다운 섬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그가 좋아하는 토끼를 풀어 놓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토끼들은 눈빛이 흐려지기 시작하였다. 털에 윤기가 사라지면서 병난 토끼같이 보이다 시름시름 앓기 시작했다.
부자는 탄식하면서 지혜로운 현자(賢者)를 찾아가 그 이유를 물었다. 현자는 웃으면서 대답을 하였다.
“이리를 같이 기르십시오.”
부자는 놀라서 물었다.
“토끼를 다 잡아 먹으면 어떻게 합니까?”
현자가 대답하였다.
“토끼들의 병은 환경이 너무 좋아서 생긴 병입니다. 이리와 함께 기르면 이리에 안 잡혀 먹히려고 힘차게 도망 다닐 것입니다. 눈빛이 빛나게 될 것입니다. 다리에 힘이 생기고 털에 윤기가 흐를 것입니다.”
부자는 그렇게 하였다. 토끼들은 몇 마리 잡혀 먹히기는 했지만 모두 건강해졌다.
거친 파도가 유능한 뱃사공을 만든다는 것은 불변의 진리입니다.
2025년 종갓집 체육대회
[뉴스21 통신=최병호 ]*사진촬영 - 최병호 기자 촬영2025년 10월 25일(토)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동천체육관 보조구장에서 중구 12개 동이 함께하는 **‘2025년 종갓집 체육대회’**가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중구민의 화합과 건강 증진, 그리고 공동체 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뜻깊은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각 동별 선수단.
정읍시, 농생명산업지구 조성사업 최종 선정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가 농림축산식품부 ‘농생명산업지구 조성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며 ‘약용치유 융복합산업지구’ 조성에 시동을 걸었다. 이학수 정읍시장은 지난 28일, 무성서원 유교수련원·칠보취수장 등 주요 현장 4곳을 방문해 사업 추진 여건을 점검하고 정읍형 치유산업 생태계 구축 방안을 모색했다....
울산시의회 문화복지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 대비 생태복원 중인 삼산·여천매립장 등 주요 현장점검
[뉴스21 통신=최세영 ]▲사진제공=울산광역시의회울산시의회 문화복지환경위원회(위원장 홍유준)는 29일(수) 제8대 울산시의회 마지막 행정사무감사를 앞두고,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감사 준비를 위해 울산광역시립노인요양원, 삼산·여천매립장 등 주요 현장을 방문해 점검했다. 먼저, 위원들은 개원 24년차에 접어든 울산광역...
지능형 과학실 온(ON)’ 디지털 과학교육 혁신 가속화
[뉴스21 통신=최세영 ] ▲사진제공=울산광역시 교육청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29일 북구 호계고등학교 지능형 과학실에서 ‘지능형 과학실 온(ON)’을 활용한 디지털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을 공개했다. ‘지능형 과학실 온’은 학생 중심의 탐구 활동을 지원하는 온라인 매개체(플랫폼)로, 감지기(센서)와 ...
제22회 익산 천만송이 국화축제
김상태 북구의장, 북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애로 청취
[뉴스21 통신=최병호 ]*사진출처 - 울산북구의회울산북구의회 김상태 의장이 북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간담회를 갖고 청소년 정신건강 및 위기 지원 체계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김 의장은 29일 북구 신천동 소재 센터를 방문해 신수정 센터장 및 청소년상담사들과 간담회를 갖고 센터 관련 사업 현황 및 센터 운영 애로사항을 듣는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