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수원특례시청사
수원시가 민선 8기 출범 이후 추진해온 ‘저연차 공무원 이탈 방지 정책’이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저연차 공무원 퇴직률이 꾸준히 감소하면서 지방정부 조직문화 혁신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2023년 38.7%에 달했던 수원시 저연차(입직 1~5년 차) 공무원 퇴직률은 2024년 30.8%, 2025년 24.1%로 하락했다. 전국적으로 5년 이내 퇴직자가 늘어나는 흐름과 달리, 수원시는 2년 만에 퇴직률을 60% 수준으로 낮췄다.
비결은 ‘공감’과 ‘소통’이었다. 시는 공직만족도 실태조사를 통해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조직만족도 향상 실행계획을 수립해 문제 해결에 나섰다. 신규 공직자 입문 교육, ‘멘토-멘티’ 수당 신설 등 소통 활성화 제도도 마련했다. 승진 적체 완화, 성과·데이터 기반 인사 제도 개선 역시 조직 안정에 기여했다.
젊은 공무원들의 눈높이에 맞춘 맞춤형 복지정책도 퇴직률 감소에 힘을 보탰다. 맞춤형 복지포인트를 20만 원 인상하고, 국외문화탐방(연 60명), 악기 교습비 지원(최대 30만 원) 등 다양한 후생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단순한 혜택 제공을 넘어, 공직 생활 중 성장할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한 점이 눈에 띈다.
수원시 관계자는 “공정한 평가와 보상으로 공직을 ‘버티는 공간’이 아닌 ‘함께하고 싶은 조직’으로 바꾸고 있다”며 “저연차 공무원의 퇴직률 하락에 그치지 않고 공직사회 전반의 체질 개선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안정성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현대 공직의 가치를 재정립하고, 미래지향적 조직 문화를 선도하는 지방정부 모델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