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 재난에도 멈추지 않는 행정서비스 체계 구축 (사진=충주시 제공)
충주시가 재난·재해 상황에서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는 안전행정체계를 완성했다.
시는 전산실 화재나 정전, 침수 등 각종 재난으로 인한 정보시스템 장애에 대비하기 위해 총 5억 원을 들여 재해복구(DR, Disaster Recovery) 시스템을 확대 구축하고, 11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22일 밝혔다.
재해복구시스템은 전산실이 마비되더라도 업무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대체 시스템을 즉시 가동해 행정업무를 빠르게 복구할 수 있는 체계다. 최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계기로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DR체계 강화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충주시는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기존 충주시의 DR시스템은 단순 데이터 백업 수준에 머물러 복구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한계가 있었지만, 올해 3월부터 새롭게 추진된 DR센터 구축 공사는 10월 완료됐다.
새 시스템은 UPS(무정전 전원장치)에 화재 위험이 적은 납축전지를 사용하고, 본청 주 전산센터의 자료를 DR센터로 실시간 백업해 동일한 서버 환경의 대체 시스템을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화재·정전 등 비상 상황에서도 행정업무를 하루 안에 복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
이번 구축으로 온나라 2.0 등 내부업무 32종과 시 대표 누리집, 통합예약, 대형폐기물 접수 등 외부업무 24종 등 총 56종의 행정시스템이 이중화됐다. 이에 따라 행정포털, 예산정보, 부동산종합공부 등 주요 내부업무뿐 아니라 시민이 자주 이용하는 온라인 행정서비스도 1일 이내 복구가 가능해졌다.
김주상 충주시 정보통신과장은 “이번 DR시스템 구축으로 재난 상황에서도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고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정적인 정보환경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행정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주시는 지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당시에도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새올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민원 대체 서비스를 제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 바 있다.
새
나뭇가지에 가려 보기 힘든 새(사진=추현욱 기자)
GTX 운정 풍경
광주시, 고려인주민 지원사업 국비 1억여원 확보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는 재외동포청 ‘2026년 지역별 재외동포 정착지원 공모’에 ‘고려인주민 광주정착지원사업’이 선정, 국비 1억1670만원을 확보했다.‘고려인주민 광주정착지원 사업’은 광주지역 고려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광주시는 올해 국비 1.
광주소방, 무등산서 가을철 안전산행 캠페인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는 26일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탐방안내센터에서 안전한 산행 문화 확산을 위한 ‘2025 가을철 산악안전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행사에는 광주소방안전본부·동부소방서·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무등산119시민산악봉사대·의용소방대 등 70여 명이 참여해 ▲등...
광주광역시, ‘독도의 날’ 기념 실시간 독도 영상 송출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는 ‘독도의 날 ’지난 (10월 25일)을 맞아 시민들의 독도 인식 제고를 위해 시정홍보 전광판에 실시간 독도 영상을 송출했다. 지난 25일 오전 10시 25분부터 서구 금호동 빛고을국악전수관, 빛고을로 입구, 농성역사 등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을 통해 독도의 생생한 모습을 공개한 것이다.이번 영상은 .
‘로맨스스캠’피해액 1,000억 원 돌파... 검거율은 50%도 안돼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올해 ‘로맨스스캠’(연애 빙자 사기) 피해액이 1,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9월) 로맨스스캠 피해액은 1,000억 원, 피해 사건 수는 1,565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2월~12월) 대비 피해액은 325억 원(48%), ..
광주서부교육지원청, 한국-싱가포르 ‘다가치’ 국제 교류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이하 광주서부교육지원청)은 20~25일 4박6일 일정으로 싱가포르 일대에서 ‘글로벌 리더 다가치 세계 한 바퀴 프로그램’을 운영했다.이번 프로그램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성을 높이고 다문화 감수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마련됐다.프로그램에는 싱가포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