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시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선제적 대응방안 제안 - 5분 자유발언 김문기
  • 기사등록 2019-04-16 23:19:34
기사수정

안녕하십니까.

연지, 농소, 소성, 입암이 지역구인 정 상철 의원 입니다

 

정상철의원


먼저 5분 발언의 기회를 주신 최낙삼 의장님과

선배・동료 의원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더불어 행복한 더 좋은 정읍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시는

유진섭 시장님과 공직자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오늘 본의원은 시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선제적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 제안으로는 초강력 태풍에 대비한 태양광시설

점검입니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태풍의 규모와 위력은

날이 갈수록 강력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100년 동안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준 상위 10개의 태풍

중 6개가 최근 10년간 발생하였다는 데이터가 그 사실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초속 60m/s 가 넘는

매미, 솔릭, 루사 등의 초대형 태풍들은 2000년 이후

우리나라에 상륙해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주었습니다.

 

국가태풍센터에서는 초대형 태풍이 발생하여

우리나라에 상륙할거라는 보도자료 해마다 내놓고 있지만,

이를 대비한 준비는 전무한 실정입니다.

 

특히 수년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태양광 발전 시설의

대부분이 초속 50m/s 정도 까지만 견딜 수 있도록 시공되어있어 그이상의 강풍이 불면 태양광 패널 하나하나가 우리 시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흉기로 변할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이에, 정읍시는 선제적으로 모든 태양광시설에 대해

일제 점검을 실시하고, 안전성이 부족한 시설에 대해서는

강력한 행정지도를 해야 합니다.

 

또한, 위기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안전로드맵을 작성하여 이를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두 번째 제안으로는 어린이와 노인, 시민들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시설 설치입니다.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사망률은 39.3%로

OECD 국가 평균 19.7%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며,

그중 만14세 이하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비율이 37%를 차지합니다.

 

어린이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발달하는 단계이므로,

성인과 비교하여 주의가 산만하고 거리와 속도 감각이 떨어져 교통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에, 초・중학교 주위 횡단보도에 옐로카펫 및

고원식횡단보도 설치가 필요합니다.

 

최근 국립재난 안전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옐로우 카펫

시인성 분석결과 설치 전・후 시선집중도가 35%에서 70%로

두배이상 증가하여 교통사고 예방 효과가 크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현재 전국적으로 옐로우 카펫 설치가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또한 기존 횡단보도에서 과속방지턱을 병행하는

고원식횡단보도로 변경하고, 횡단보도에 집중 조명등을

설치하여 교통흐름에 판단이 미숙한 어린이를 보호해야 합니다.

 

그리고, 급속한 고령사회 진입으로 노인들의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실버존 설치도 필요합니다.

 

도로교통법 제12조의 제1항 “기초단체장은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노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는 노인복지법 제31조 규정에 의한 노인복지 시설주변 도로

일정구간을 노인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차량통행을

제한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고령일수록 인지력이나 시력 등 위급상황에 대처 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이에, 다수의 노인들이 이용하는 재래시장, 경로시설 주변을

실버존으로 지정하여 무단횡단 금지 표지판,

차량속도 30km이하 제한과 고원식횡단보도 등의 시설을

갖추어 노인들을 보호해야합니다.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 사용자 횡단보도 사고 급증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주요 횡단보도에

바닥신호등을 시범적으로 설치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야합니다.

 

사후약방문이 아니라 유비무환의 자세로 선제적 대응을 할 경우 시민모두가 안전하게 삶을 영위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정읍시는 더불어 행복한 더 좋은 정읍에 한걸음 더 가까워 질것입니다.

 

아무쪼록 해당부서에서는 더욱 노력해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9044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