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학생들의 북한 및 통일 인식 변화 - ‘2018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김태구
  • 기사등록 2019-02-12 15:56:08
기사수정




  통일부와 교육부는 2018년 10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학생 및 교사들의 북한과 통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학교 내에서 진행되는 통일교육의 실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통해 「2018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대상은 학생 82,947명, 교사 4,166명으로 전국 597개교 87,113명이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중‧고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 대한 이미지로 ‘전쟁‧군사’ 또는 ‘독재‧인물’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6.4%로 전년과 비교하여 17.4%p 감소했다. 반면에 ‘한민족‧통일’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4.9%로 전년 대비 16.3%p 증가하여 북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의 답변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일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일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3.0%로 전년 대비 0.8%p 상승했고, 반대로 ‘통일이 불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13.7%로 전년 대비 2.7%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 ‘전쟁 위협 등 불안감 해소’와 ‘한민족’, ‘국력 강화’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반면에 ‘통일 후 사회혼란’과 ‘통일비용 등의 경제적 부담에 대한 우려’ 등을 통일이 불필요한 이유로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학생들이 학교에서 통일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9%로 나타나 전년의 80.4%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학교통일교육 후 통일에 대한 관심도 향상 여부’와 ‘통일교육 후 통일 문제 이해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 등은 전년에 비해 향상됐다. 


통일․북한 관련 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인터넷․블로그․누리 소통망(SNS) (40.2%), △학교 수업(25%), △TV․라디오(18.4%) 순으로 답변했다. 


한편, 교사들은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해 시급한 과제로 통일교육 △자료 보급(50.2%),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44.3%, 신설 항목), △교사 전문성 향상(31.7%), △통일교육 시간확보(22.0%) 등을 지적했다. 


통일부는 향후 2018년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통일부와 교육부는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학생 체험활동, 교사 연수 등에서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교사들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학생들의 평화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8656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포토뉴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