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년 후 항공기나 선박을 이용해 제주도에 들어올 수 있는 관광객이 수용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14일 제주관광공사(JTO)는 '제주관광 수용력 연구' 결과 발표를 통해 현재 제주도가 물리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관광객 규모를 1686만 명으로 분석했다고 밝혔다. 이는 항공이용객 1485만 명과 선박이용객 201만 명을 합산한 수치다.
지난 2016년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은 1585만명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에 다다랐다. 이후 지난해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1475만 명으로 줄었지만 당장 2019년부터 제주도가 수용 가능한 물리적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연구진은 내다봤다.
앞으로 제주 제2공항과 강정항이 개항할 경우 지금보다 1400만 명이 늘어난 3100만 명으로 수용 규모가 늘어나지만 이마저도 2040년 넘어설 전망이다.
경제적 수용력은 2022년 한계치를 초과할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적 수용력이란 교통체증 및 폐기물·하수처리 등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이 관광객 유입에 따른 수익을 넘지 않는 범위를 뜻한다. 현재의 인프라를 전제하면 1990만 명의 관광객이 밀려오는 2022년이면 결국 경제적 손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연구진은 "이주민의 지속적인 증가와 맞물려 관광 수요가 급증하면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관광객 2000만 명 시대는 제주관광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교통·상하수도·생활쓰레기 처리 등 각종 인프라 확충이 지금부터 진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제주관광공사는 지난해 4월부터 관광시장의 과포화 현상에 대비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했다. 올해 2년차 연구를 통해 심리적 수용력 및 오버투어리즘(Over tourism·과잉관광)에 대응하는 해외 선진사례 등의 연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산림청, APEC 대비 산림경관정비에 총력!
산림청, APEC 대비 산림경관정비에 총력!산림청(청장 김인호)은 ‘2025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와 외국 사절단에게 아름다운 대한민국의 숲을 선보이기 위해 경주 보문단지 주변 산림경관을 정비했다고 24일 밝혔다. 먼저 아시아·태평양 정상 등 외교사절단이 방문하는 경주보문단지 주변의 산림경관을 정비하기 위해 산림.
산림청, 임산물 수출 유망기업에 해외시장 개척비 지원한다!
산림청, 임산물 수출 유망기업에 해외시장 개척비 지원한다!- 국내 임산물 수출 진출을 선도할 유망기업 5개 사 선정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서울 한국임업진흥원에서 국내 임산물의 해외시장 진출을 선도할 수출 유망업체 5개 사를 선정하고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산림청은 임산물 수출 확대를 통한 임업인 소득 항상 및 임산업...
한국산림복지진흥원, 25일 대전숲체원서 ‘2025 우리숲페스타’ 개최
한국산림복지진흥원, 25일 대전숲체원서‘2025 우리숲페스타’ 개최 - 숲에서 만나는 문화예술 향연… 청년 예술인과 지역이 함께하는 숲속 축제 국립대전숲체원 우리숲페스타 홍보 포스터. 한국산림복지진흥원 국립대전숲체원 제공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남태헌)은 대전숲체원에서 오는 25일 12시부터 18시까지 ‘2025 ...
산림청, 10월 이달의 임산물로 ‘대추’ 선정
산림청, 10월 이달의 임산물로 ‘대추’ 선정산림청(청장 김인호)은 10월 이달의 임산물로 ‘대추’를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대추는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풍요와 다산, 건강을 상징하는 임산물로 사랑받아 왔다. 주로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9월 하순부터 10월 초 사이에 수확되는 대표 가을 임산물로 최근에는 .
산림청,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회의에서 국제 산림협력의 중요성 알려!
산림청,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회의에서 국제 산림협력의 중요성 알려!산림청(청장 김인호)은 20일부터 파나마에서 개최되는 제27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CBD) 과학기술부속기구회의(SBSTTA)에 참석해 국제 산림협력 사례를 소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산림청은 부대행사에서 2014년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총회 후속사업으로 한국이 주도해 출범한 ...
가을철 산불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 개최
가을철 산불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 개최APEC 정상회의 개최 전 산불대비태세 확립을 위해 당초 11월 1일에서 10월 20일로 앞당겨 산불조심기간 시작 -□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와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10월 23일(목) ‘2025년 가을철 산불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공동 개최했다. ○ 가을철은 단풍을 즐기려는 관람객과 등산객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