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기도구리시, 갈매역세권사업 LH 와 공동개발 추진 김한구
  • 기사등록 2017-12-21 21:51:54
기사수정

구리시는 21일 저소득 주거안정 및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해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구리갈매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지정 사업은 지역주민들의 의견 청취를 거쳐 지구지정 고시되면 LH등과 공동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리갈매역세권 개발 사업은 전임시장 재임시 인 2014년 12월경에 추진한 갈매역세권 개발사업 타당성 용역비 편성을  구리시의회로부터 승인(2012년 9월)을 받은 구리도시공사 자본금 60억 원의 범위 내에서 집행됐었다.


상기용역비에 대한 예산편성은 사전에 전임시장의 승인을 받아 담당부서 의견 및 동의에 의하여 구리도시공사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후 진행됐으며, 현 시장이 취임하기 전인 2015년 11월경 담터 및 도촌지구 등 우선해제 취락지구 등 을 제외한 약7만3천평을 개발키로 했다.


구리시에 따르면 전임시장 재직인 2015년 11월 갈매역세권 개발사업을 위한 2020 구리도시기본계획 변경(안)」을 경기도에 의뢰한 결과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에서는 우선해제 취락지역을 포함하여 갈매역세권 개발계획을 수립하라는 재심의 의견을 구리시에 통보(2016. 3. 31)했으며,구리시는 경기도 의견을 반영 우선해제지역인 담터 및 도촌지구 등을 포함 약21만 4천평으로 용역을 완료,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추진하는 갈매역세권 공공주택지구 건설사업의 면적 약24만 2천평과 비슷한 면적으로 구리갈매역세권 개발사업을 추진했다는것.


구리도시공사는 지난 7월 구리시의회 보고시 용역 완료된 토지기본구상과 사업성 비교 사업시행방안(단독시행, 공동이행방식, 특수목적법인) 등의 장단점을 분석한 최종보고서에서 밝혔던 내용 중 단독추진시 막대한 재원조달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국토부 승인사항인 개발제한구역 해제 이행에 어려움이 예상되어 LH공사 등 공공기관과 공동이행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에 부합한다는 점을 뒷받침했다.


또 2017년 제274회 제2차 구리시의회 정례회 시정 질문 답변과정에서 추가질문 답변시 A모의원이 2017년 7월 최종용역 보고를 받을 때 구리도시공사가 지분을 51%이상 확보하는 전제로 동의했다고 한 내용은 구리도시공사 용역 결과보고 내용에 는 없으며, 자족기능 강화, 보상비, 수익성보다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사업을 추진하라는 의견을 제시했었다.


그러나 의견을 제시했다 하더라도 갈매역세권 개발사업의 예상 사업비는 1조원 이상으로 51%이상의 지분참여는 구리도시공사가 약 5천7백억원의 재원이 투입돼야 하는 사항으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항에 처해있다.


구리시 관계자는 구리갈매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지정 사업은 2017년 8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국토교통부에 지구지정을 제안하여 현재 주민의견 청취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공개를 마무리 했다며,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2018년 1월경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공람ㆍ공고 예정에 있으며, 시에서는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및 학교설립에 따른 의견 등 을 반영 할 것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지난 11월 29일 정부 주거복지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구리갈매역세권 부지를 신혼부부 희망타운 지역으로 우선 발표하여 해당 지역주민들이 이에 반발하며 민원을 제기한데 대해 시는 해당 지역주민들의 어려움을 최대한 해소하고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5790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아산시새마을회, 사회복지시설 방역 봉사활동 전개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시장 “고품격 문화도시 아산, 외암민속마을과 함께”
  •  기사 이미지 8개월 만에 하마스 인질 구출, "가자 주민 700여 명 사망"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