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오대산에 남아있는 일제강점기 수탈의 흔적들 - 일제강점기 화전민터를 중심으로 자원수탈에 동원된 흔적 산재 - 화전민터 지표조사를 통해 일제의 수탈현장 발굴‧보존 김흥식 본부장
  • 기사등록 2017-08-15 00:11:32
기사수정


▲ 화전민터 흔적(화전금지 표석)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광복 72주년을 맞아 일제강점기 시절 오대산 일대에서 자행되었던 자연자원의 수탈 흔적에 대한 지표조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대산에는 일제강점기 시절, 일제의 목재 수탈과 노동력 착취 등의 이유로 화전민 마을이 생겨났으며, 1975년 오대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당시까지도 일부가 남아 있었다.

 

현재까지도 월정사와 상원사 구간에 화전민 가옥터 약 50여 기가 남아있으며, 오대산국립공원의 일부 지명에서도 일제의 지역 주민들에 대한 노동력 수탈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오대산국립공원에 속하는 강원도 평창군 오대천 상류의 보메기계곡의 보를 막아 나무를 쌓아 놓은 뒤 비를 이용하여 한꺼번에 무너뜨려 이동시켰다는 데에서 비롯되어 현재까지도 지명이 사용되고 있다.

 

이곳에서 남쪽으로 0.8km 떨어진 회사거리는 오대산에서 이송한 목재를 가공했던 조선총독부 산하 목재회사가 있던 자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목재를 반출하기 위해 수레를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된 목차레일은 오대산 선재길 일대에 10m 정도가 남아있다.

 

화전민 마을에서 동원된 사람들의 고달픈 노동가요 목도소리도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다.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는 올해 처음으로 일제강점기의 아픈 역사의 흔적을 자료로 남기기 위하여 자연자원 수탈과 관련된 화전민터에 대한 지표조사를 이달부터 추진하고 있다.

 

사무소에서는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현황도를 작성, 화전민터에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세우고, 추후 발굴복원사업 등의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다.

 

정정권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장은 이번 오대산 화전민터 조사는 세월이 많이 흘러 사라져가는 일제의 수탈흔적을 발굴·보존하려는 것으로, 시대의 아픔과 치욕을 잊기보다 뚜렷하게 기억하는 것이 후세를 위해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489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아산시장, 아산경로무료급식단체협의회 “회원님들의 시간과 정성에 감사”
  •  기사 이미지 아트밸리 아산 유스밴드… 청소년의 힘찬 에너지로 ‘청소년 페스타’ 개막공연 장식
  •  기사 이미지 예산군, 예산형 지역 먹거리 계획 추진 위한 토론회 개최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