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반도 온난화 영향, 괭이갈매기 번식시기 빨라져 - 한려해상 홍도 괭이갈매기 올해 번식시기, 관측 시작한 2003년에 비해 10일 … - 국립공원연구원,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섬 생태계 변화 관찰 김흥식 본부장
  • 기사등록 2017-06-11 13:06:58
기사수정


▲ 홍도 괭이갈매기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의 괭이갈매기 번식시기를 조사한 결과, 올해 번식시기가 2003 조사 시작 이후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홍도 괭이갈매기는 2003년에는 411일에 번식을 시작했고, 2013 412, 2014년과 2015년에는 47, 올해에는 41일에 번식을 시작하여 14 전인 2003년에 비해 10일이나 빨리 번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해역별 기후변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서해안의 괭이갈매기 번식지인 난도에서도 번식시기를 조사했는데, 조사 결과 올해에는 2016년에 비해 4일 빠른 412일에 번식을 시작했.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괭이갈매기 번식 시기가 점차 빨라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 번식지 인근 해수 표면의 연평균 수온이 올라 이에 따른 괭이갈매기의 먹이인 어류 개체군 크기나 이동 변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홍도 부근에서 측정된 한국해양자료센터(KODC) 정선해양관측자료에 따르면 해수표면(수심 0m)의 연평균 수온이 1990년대(1990~1999) 비해 2000년대(2000~2009)0.61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도 인근 거제 지역의 연평균 기온(기상청 자료)1990년대(1990~1999)에 비해 2016년에는 0.52상승했다.

 

국립공원연구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섬(도서) 생태계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난해부터 괭이갈매기 번식지 인근 해양환경(수온, 염도)번식지 내 무기환경(기온, 습도, 토양), 식물, 식생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모니터링)하고 있다.

 

나공주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최상위포식자인 괭이갈매기의 번식시기 변화는 섬 생태계가 한반도 온난화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수 있는 지표라며, “바닷새의 번식시기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섬 생태계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4446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