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아차 노조, 社內 비정규직 노조와 9년만에 결별 -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문제로 노조 내부 갈등 깊어져 김만석
  • 기사등록 2017-04-29 11:40:55
기사수정




기아자동차 노조가 사내 비정규직 노조와 갈라서기로 결정했다. 지난해부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문제를 둘러싸고 '노노(勞勞) 갈등'을 벌인 끝에 비정규직 노조와 결별을 선택했다. 


기아차 노조는 27~28일 비정규직 노조를 분리하는 내용의 노조 규약 개정안에 대한 조합원 총투표를 실시해 71.7% 찬성률로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앞으로 기아차 노조 가입 자격은 '기아차 내에서 근무하는 노동자'에서 '기아차주식회사에 근무하는 노동자'로 바뀐다. 


비정규직으로 불리는 사내 하도급업체 소속 노동자는 기아차 노조에 가입하지 못하는 것이다.


기아차 노조가 9년 만에 비정규직 노조와 결별하기로 결정한 것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문제를 둘러싸고 노노 갈등의 골이 깊어졌기 때문이다.


기아차 노조는 지난해 11월 4000여명의 비정규직 가운데 일단 1049명을 우선 특별 채용하기로 사측과 합의했다. 


그러나 비정규직 노조는 "노사 합의는 나머지 비정규직 조합원이 평생 비정규직으로 살라는 것"이라며 집행부를 비판했고, 전원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여러 차례 독자 파업을 벌였다.


기아차 노조는 이에 대해 지난 11일 소식지에서 "(비정규직 노조가 노사 합의에 대해) '사기극 범죄 행위'로 표현했다"며 지도부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을 다했지만 현장 갈등은 오히려 확산돼 규약을 개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비정규직 노조가 사측이 받아들이기 힘든 무리한 요구를 내세우며 강경 투쟁을 벌이자 정규직 노조원 사이에선 '이참에 노노 분열을 조장하는 비정규직 노조와 갈라서는 게 낫겠다'는 공감대가 확산됐다"고 말했다.


노동계에선 비정규직 분리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기아차 상급단체인 민주노총까지 지난 24일 "비정규직 분리는 기아차 노조 역사에 오점이 될 것"이라며 총투표 중단을 촉구했고, 정의당도 지난 25일 "노동자 단결 정신에 기초해 하나의 조직에서 비정규직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갈 것"을 호소했다.


노동 전문가들은 이번 기아차 노조의 결정은 대기업 정규직이 사회적으로 더 약자인 비정규직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관심이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노동 양극화를 없애려면 대기업 노조의 기득권 깨기가 우선이라고 지적한다. 


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해외 대기업 노조는 양극화가 생기지 않도록 임금과 복지를 일부 양보한다"면서 "상위 5% 대기업 노조가 임금·복지를 독점하는 구조를 깨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4202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시장 “아산시, 항공우주기술 새 전기 시작점 되길”
  •  기사 이미지 예산군,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국내 7번째 자매결연 체결!
  •  기사 이미지 예산군품목농업인연구연합회, 2024 실증연구 과제포 로메인 상추 수확 성공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