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MBC뉴스영상캡쳐
국가정보원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방중을 통해 ‘정상국가 지도자’ 이미지를 연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자평했다고 11일 밝혔다.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 동행은 4대 세습 서사를 완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해석됐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현안보고에서 “김 위원장이 다자외교무대에 데뷔해 북·중·러 연대를 과시하며 정상국가 지도자라는 모습을 보여줬다”며 “푸틴에 준하는 예우를 받으며 다극화 대열에 북한이 합류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연출했다고 스스로 평가하는 듯하다”고 보고했다.
다만 회담 과정에서 이견도 감지됐다고 국정원은 덧붙였다. 북·중 회담에서는 김 위원장이 강조한 ‘호혜적 경제협력 심화’ 발언이 중국 측만 공개됐고, 북·러 회담에서는 김 위원장이 동맹 장기화를 언급했지만 푸틴 대통령은 방문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등 온도 차가 있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건강과 관련해 국정원은 “초고도비만으로 땀이 많이 흐르거나 계단 오를 때 숨이 차는 모습이 있으나, 심박과 혈압은 정상 범위로 건강에 큰 이상은 없다”고 분석했다.
또한 김 위원장이 딸 김주애를 방중 일정에 동행시킨 것은 후계 구도를 염두에 둔 행보로 풀이했다. 국정원은 “김주애가 공식 행사장에는 등장하지 않았으나 전용열차에 미리 탑승하는 등 노출을 최소화하면서도 후계자 입지를 다지는 데 필요한 ‘혁명 서사’는 충분히 확보한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방중 전후로 ICBM 관련 시설을 방문한 것은 “대미 협상력과 핵전력 고도화를 위한 행보”라고 평가하며, 유리한 대외환경을 바탕으로 향후 공세적 행보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