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로 마감했다.
현지 시각 17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9.71포인트(0.52%) 오른 44,484.49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3.66포인트(0.54%) 상승한 6,297.36, 나스닥종합지수는 153.78포인트(0.73%) 뛴 20,884.27에 장을 마쳤다.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이틀 만에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예상보다 탄탄했던 미국 소비 지표와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주가지수를 밀어 올렸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6월 미국의 소매 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0.6% 증가한 7천201억 달러로 집계됐다. 시장 예상치는 0.1% 증가였습니다. 앞서 5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9%나 급감한 바 있습니다.
하이프리퀀시이코노믹스의 칼 와인버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오늘의 메시지는 분명하다"며 "소비자들은 양호한 상태고 당장은 금리인하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들도 호실적을 잇달아 내왔다.
유나이티드항공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에 주가가 3% 상승했습니다. 펩시코도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주가가 7% 급등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이번 주 들어 실적을 발표한 S&P500 구성 종목 약 50개 중 88%가 예상치를 상회했다.
미국의 주간 신규 실업수당 건수는 5주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며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2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22만1천건으로 나타났다. 4월 이후 최저치다.
소비 지표가 강세를 보이면서 금리인하 속도는 느려질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75bp 인하될 확률을 18.5%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엔 22.6%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