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전통사찰 지정심사에서 삼척 감로사가 최종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 이는 9년 만에 도내 전통사찰이 추가 지정되는 쾌거로, 2016년 속초 보광사의 지정 이후 처음이다.
□ 전통사찰은 전통사찰의 보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전통사찰법’) 제4조에 따라 등록된 사찰을 말하며, 문화체육관광부의 심사를 거쳐 전통사찰로서 보존할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지정된다.
○ 도는 지난 1월 17일, 삼척 감로사에 대한 전통사찰 지정 신청서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하였으며, 6월 25일 최종결과로 ‘조건부 지정’을 통지 받았다. (※지정조건: 전통사찰로서의 미관을 저해하고 있는 요사채 건물의 백색 PVC 창호 및 청색 플라스틱 차양의 철거)
○ 이행조건이 미미한 내용임에 따라, 감로사는 1년 이내 지정조건을 이행하고 순조롭게 전통사찰로 지정될 예정이다.
□ 삼척 감로사(주지 법장)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의 사찰로, 삼척시 정상동 보타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 1960년에 창건되었으며, 대웅전, 요사채, 나한전, 삼성각, 산신각 등 주요 전각이 산지가람의 전통적 사찰 배치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 특히 제작연대와 제작자 등이 명확히 기록된 ‘감모여재도’는 한국 민화의 연대 구분에 기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현재 도내 전통사찰은 총 48개소(전국 총 984개소)로, 감로사가 지정조건을 이행하여 최종 지정되면, 2016년 속초 보광사 이후 9년 만에 탄생하는 제49호 전통사찰이 된다.
○ 전통사찰로 지정되면, 노후·퇴락된 주요시설의 보수정비, 방재시스템 구축 등에 대한 국고보조사업 지원이 가능해져 사찰의 안전성과 역사적 가치를 높이는 사업을 본격 추진할 수 있다.
□ 김광철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체육국장은 “역사적, 예술적, 건축사적 가치를 가지는 중요한 문화유산인 전통사찰에 강원특별자치도의 사찰이 추가되어 매우 뜻깊다”라며 “심사결과의 지정조건을 잘 이행하여 제49호 전통사찰이 탄생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