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여름의 해풍을 맞으며 서해안 언덕길을 따라 걷는다. 흐드러지게 핀 노란 꽃 물결, 금계국(金鷄菊)이 끝없이 이어진다. 밝고 생기 넘치는 색감은 '상쾌함'과 '즐거운 추억'이라는 꽃말을 품고 있지만, 그 잔잔한 떨림 속엔 어쩐지 한 줄기 결연한 기운이 느껴진다.
현충일, 나라를 위해 스러진 이들을 기리는 날. 문득 안중근 의사의 단정한 눈빛과, 그가 쏘아 올린 총성의 울림이 떠오른다. 그것은 단지 가슴을 겨눈 한 발의 총탄이 아니었다. 정의를 향한 외침, 민족을 위한 외로움, 그리고 역사를 바로잡고자 했던 뜨거운 결단이었다.
대한민국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금계국 언덕 저편, 한강 너머 수도 서울에서는 언론이 권력의 언저리에서 입을 닫고, 사법부는 침묵을 강요 당하며, 기업들은 눈치와 생존 사이에서 줄타기를 강요받고 있다. 총통적 권위가 스멀스멀 언저리를 잠식해 오는 오늘, 살아있는 권력이 법 위에 군림하려 한다면, 그것이야말로 자유 민주 공화국에 드리우는 암운이 아닐까!
오는 6월 18일, 대법원으로부터 환송된 공직선거법 판결이 시작된다. 법과 양심에 따라 판단해야 할 재판관의 손에 든 펜은 지금, 무력한 무기가 아니다. 그것은 때로 안중근 의사의 총탄보다 더 깊은 울림을 남길 수 있다.
펜끝이 꺾이면 정의는 피흘리고, 반대로 그 펜이 정의의 맥을 찌른다면, 다시금 이 땅에 ‘법 위에 만인이 평등하다’는 헌법의 명제가 살아 숨 쉴 수 있다.
금계국은 혼자 피지 않는다. 수천 송이가 서로의 어깨를 맞대고 핀다. 대한민국의 법 또한 혼자 세워진 것이 아니다. 수많은 희생과 저항, 그리고 피와 눈물의 역사 속에서 겨우 뿌리내린 것이다.
이제, 재판관의 펜은 결코 가벼울 수 없다.
그 한 줄의 판결문이, 역사의 무게를 대신 짊어질 수 있기를.
그 펜이 꺾이지 않고, 오히려 안중근의 총성처럼 진실을 관통하길 바란다.

아산시 ‘2025 청년들이 만드는 아산 페스티벌’ 성료
[뉴스21 통신=이종수 ]아산시(시장 오세현)는 28일 순천향대학교 앞 청년문화거리 일원에서 ‘청춘, 골목을 밝히다’를 주제로 ‘2025 청년들이 만드는 아산 페스티벌’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는 아산시와 순천향대학교, 신창면 대학가발전협의회가 협력해 추진한 행사로, 대학가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
예산군, 고령 은퇴농업인 농지이양 시범사업 참여 ‘활발’
[뉴스21 통신=이종수 ] 예산군이 고령 은퇴농업인의 안정적인 노후와 청년 농업인의 안정적인 영농 기반 마련을 위해 ‘충남형 고령 은퇴농업인 농지이양 활성화 시범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지역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군에 따르면, 2024년 7명을 시작으로 2025년에는 35명이 신청하는 등 현재까지 총 42명의 고령 농업...
예산군, 2025 추사국제학술대회 개최
추사국제학술대회 포스터[뉴스21 통신=이종수 ]예산군은 충청남도와 함께 오는 11월 3일 덕산면 스플라스 리솜 대연회장에서 ‘2025 추사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 학자이자 예술가인 추사 김정희 선생의 학문과 예술세계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로 군과 충청남도가 공동 주최하고 충청...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과 예술·체험의 만남, 세종과학콘서트 개최
[뉴스21 통신=이종수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가 내달 1일과 8일 이틀간 과학기술에 공연예술·체험을 접목한 세종과학콘서트를 개최한다. 이번 콘서트는 지난 6월 열린 상반기 콘서트에 이어 추가 개최하는 행사로, 시민들에게 과학적 사고와 문화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1일에는 아름동 행복누림터에서 유튜브 ‘안될.
아산시먹거리재단·온새미로목장우유, 기초푸드뱅크에 우유 기부
[뉴스21 통신=이종수 ]아산시 기초푸드뱅크는 개인이나 기업으로부터 식품 및 생활용품을 기부받아 지역의 저소득층과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들에게 전달하는 복지기관이다. 이번 기부는 지역사회에 “건강하고 신선한 식재료를 나누고 싶다”는 두 기관의 뜻이 모여 이루어졌다. 기부에 참여한 온새미로목장우유는 ‘자연 그...
북한산, 백운대의 비경
2025 속초 설악산 단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