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1월 24일부터 운영해 온 봄철 산불조심기간이 5월 15일(목) 24시를 기준으로 종료되었으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산불대응 3단계에 해당하는 대형산불 발생 없이 마무리되었다고 밝혔다.
○ 올해 도내에서 발생한 산불은 총 39건, 피해 면적은 113.70ha이다.
□ 특히, 1월 영동 지역은 평년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강수량으로 산불 위험지수가 높았던 상황이었으나,
○ 도는 당초 2월 1일 예정이던 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을 1월 13일로 앞당겨 조기 가동하였고, 의용소방대와 자율방재단 등 민간협력 조직과의 공조체계를 본격 가동하며 선제 대응에 나섰다.
○ 그 결과 2016년 이후 매년 이어지던 대형 산불을 2년 연속 차단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이번 산불조심기간 동안 도는
○ 산불 예방·감시를 위해 산불감시원 2,380명, 진화대 1,118명, 이통장 1,867명, 의소대 6,854명 등 12,219명을 평시에 감시인력으로 투입하였으며 강풍·건조 기상특보 발효 시에는 자율방재단 2,976명 등 최대 3,179명을 추가로 투입하여 총 15,398명을 운영했다.
○ 산불 진화에는 총 1,118명의 인력과 헬기 25대(도 임차 7, 산림청 7, 소방 3, 군부대 8)가 투입되었으며, 산불 발생 출동 39건, 산불오인 출동 38, 군사분계선 인근 출동 8건 등 총 85건의 출동이 있었다.
□ 대표적인 산불 사례로는 정선 여량면 24ha와 인제 상남면 73ha이 있으며, 각각 상황에 맞는 대응이 이뤄졌다.
○ 정선은 겨울철 한파로 저수지가 얼어 진화용수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되었으나 도는 전년도 11월부터 저수지에 동절기 결빙방지 장치를 설치해 신속한 진화에 도움이 되었고,
○ 인제 산불은 행정안전부가 배포한 「초고속 산불 대비 지자체 가이드라인 및 국민행동요령」(4.16.)을 현장에서 적극 실행해 인명피해 없이 진화하였다.
□ 한편, 도는 경북‧경남지역의 대형산불 발생시 진화지원 요청에 따라 누적기준 헬기 126대(도임차 9, 산림청 49, 군부대 65), 소방차 등 진화장비 388대, 인력 2,611명을 지원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안타깝게도 도 임차 헬기 1대의 사고가 발생하는 일도 있었다.
□ 앞으로 도에서는 산불조심기간이 종료되었으나 기상특보에 대비해 도 임차 헬기 7대를 6월 27일(금)까지 운영하며 대응 태세를 유지할 계획이며, 시군 실정에 맞게 산불감시‧진화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