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측은 탄핵심판 내내 계엄이 있었지만, 실제 영향은 미미하다는 입장을 취해왔다.
'경고성 계엄'이었다는 것이다.
국회 측은 헌법기관인 국회와 선관위를 침탈하려고 했다, 계엄 선포 요건에도 맞지 않는 점 등을 강조해 왔다.
양측이 팽팽히 맞서온 가운데 이제 초점은 최후 변론기일 당일, 양측 대리인에 주어진 2시간의 제한된 시간 안에 종합변론을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모아지고 있다.
특히 재판부가 대리인 변론 이후 진행될 윤 대통령과 정청래 국회 측 소추위원 최종 의견진술에는 시간제한을 두지 않은 만큼 어떤 내용을 어떻게 얼마나 담아내느냐가 더욱 중요해졌다.
앞서 노무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의 경우 당사자 직접 발언이 없었지만 윤 대통령은 지금까지 재판 과정에 적극적으로 임했던 만큼 장시간 최후 진술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윤 대통령 최후 진술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변론이 종결되면 헌재는 재판관 평의에 들어가는데, 선고까지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경우 2주,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11일이 걸렸던 만큼 다음 달 중순쯤 최종 선고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