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트럼프 미국 당선인 측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측과 대화 추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은 오늘(13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트럼프 스스로 북한과 김정은과의 정상회담 성과를 자신의 성과로 인식하고 있다"며 "김 위원장과 대화 추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 박선원 의원은 "단기간 내 북한 비핵화가 어렵다고 판단할 때 핵 군축과 같은 작은 규모의 협상 즉 스몰딜이 가능하다"며 "인권 문제는 소극적으로 다룰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국정원은 북한군 피해 규모가 사망 3백여 명, 부상 2천7백여 명으로서 사상자 수가 3천여 명을 넘어섰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은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 쿠르스크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최근 입수한 북한군 전투 영상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로는 무의미한 원거리 드론 조준 사격, 두 번째로는 후방 화력 지원 없는 돌격 전술을 쓰고 있다"고 국회에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대전에 대한 이해 부족과 러시아 측의 북한군 활용 방식이 결과적으로 대규모 사상자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됐다고 분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고 국방위 간사단은 밝혔다.
국정원은 "전사자 소지 메모에서 북한 당국이 생포 이전에 자폭 자결을 강요하는 내용이 있고 또한 병사들은 막연하게 노동당 입당, 사면을 기대하고 있는 사실도 메모에 기재돼있는 것이 발견됐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근 북한군 병사 1명이 우크라이나 군에 포획될 위기에 놓이자 '김정은 장군'을 외치며 수류탄을 꺼내서 자폭을 시도하다 사살된 사례도 확인됐다"고 했다고 국방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이성권 의원은 전달했다.
국정원은 또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과의 실시간 공조를 통해 북한군 2명 생포와 포로 진술 내용을 입수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이 2명은 정찰총국 소속의 전투원으로, 2500명이 파견되었는데 그때 동반해서 파병된 것으로 소속이 확인됐고 두 번째로 북한 당국이 파병 급여에 대한 약속이 없이 '영웅으로 대우한다'는 공지를 받았다고 진술한 점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