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우리은행은 55억 상당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대출 과정에서 허위 서류를 걸러내지 못해 일어난 일이다.
지난 6월 영업점 직원의 100억대 횡령 사고와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회장 친인척 부당대출에 이어 올해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세 번째 금융사고.
금융감독원 자료를 보면 최근 약 7년 동안 배임, 횡령, 사기 등 전 금융권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규모는 6,600억 원을 넘겼다.
특히 올해는 8월까지 1,336억 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금융사고 발생은 은행권이 압도적이다.
규모는 4천억 원대로, 전체의 60% 수준.
은행권에선 임직원의 횡령과 유용으로 인한 금융사고가 많았다.
반면 저축은행의 경우 서류 위조 등 사기가 많이 일어났다.
보험과 증권, 카드사의 경우 업무상 배임이 가장 많은 특징을 보였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도 금융권, 특히 은행의 내부통제 부실 문제가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 금융권에서 사고 규모가 가장 큰 우리금융지주 임종룡 회장은 4대 금융그룹 회장 가운데 처음으로 국감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