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작전부대의 습격 훈련은 보통 밤에 이루어진다. 2020년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 참가했던 북한군 특수작전부대 병사들은 모두 헬멧에 장착된 야시경을 착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훈련에서는 그러한 장비들이 보이지 않았고, 훈련 내용이 비밀스럽게 유지됐다. 아마 신병들의 기초 훈련이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북한에서 김 총비서가 군부 시찰을 할 때는 호위사령부 담당자들이 양복이 아닌 전투복으로 갈아입고 소총을 소지한 채 경호 임무를 수행한다. 다만 이날 공개된 사진에서는 호위병들이 7명이나 보였는데, 과거와 비교했을 때 경호가 매우 엄격해졌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이 김 총비서의 사진을 공개할 때, 국가보위성 등 여러 담당자가 철저히 사진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할 것이다. 반대로 어떤 정치적인 의도로 외부에 보여주고 싶은 사안이 있다면, 그 의도에 맞춰 사진을 제작할 것이다.
대외적으로 김 총비서의 경호 체계가 완벽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목적이 있을 것이고 요즘 전 세계적으로 암살 시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암살 수단도 무인기, 즉 드론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2016년에 북한은 중거리 탄도미사일 무수단을 8차례 시험했는데, 단 한 번만 성공했다. 그래서 북한은 결국 무수단 미사일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이러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북한은 외부의 습격과 암살 시도가 다양해질 것을 우려하면서, 그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