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모 씨는 2019년 하나증권 영업점에서 사모펀드 상품을 추천받았다.
한 게임 회사의 경영권을 사서 회사를 키운 뒤, 상장시켜 수익을 내는 구조였다.
이렇게 하나증권 영업점에서 34명이 85억을 투자했다.
여기에 기관 등이 6백억 원 넘게 투자했고, 마지막으로 하나증권도 5백억 원을 대출해줬다.
이렇게 모인 약 1,200억 원으로 사모펀드 운용사가 게임회사 창업주로부터 지분 86%를 사들여 경영권을 확보했다.
다만 주식 전체를 하나증권에 대출에 대한 담보로 넘겼다.
그런데 지난해 9월 하나증권이 대출 회수를 통보했다.
코로나 19 기간 회사가 창업주 측으로부터 130억 원을 빌렸다 갚았는데 하나증권 대출보다 먼저 갚은 걸 문제 삼았다.
채무를 상환할 땐 하나증권 대출도 같이 갚도록 한 계약 조건을 어겼다는 것이다.
하나증권은 담보로 잡고 있던 주식을 338억 원에 팔아 자사 원리금만 회수했다.
매수자는 공교롭게도 주식을 팔았던 창업주였다.
하나증권은 사모펀드를 팔면서 수수료를 벌었고, 대출해준 돈도 원금에 이자까지 챙겼다.
게임회사 창업주는 회사를 사모펀드에 1200억 원에 팔았다가 3백억 원대에 다시 사서 8백억 원 이익을 봤다.
하나증권에서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들은 원금을 모두 날렸다.
하나증권은 "회사 가치가 떨어졌고 창업주 말고 팔 상대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고객의 원금 손실에 대해선 "상황이 애석하다"면서도 "펀드를 팔았을 뿐 운용하진 않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