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 위원장 이진숙 전 대전MBC 사장 거론

김홍일 방송통신위원장이 국회에 본인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보고되기 직전인 2일 오전 자진 사퇴했다. 지난해 12월 이동관 전 방통위원장이 탄핵 표결 직전 사퇴한 데 이어 두 번째 방통위원장 사퇴다. 김 위원장 사퇴로 오는 8~9월 예정된 공영방송 이사진 교체는 후임 방통위원장이 이어받아 진행한다.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11시 과천청사 방통위에서 퇴임식을 열어 “야당이 주장하는 탄핵사유는 법적 정당성이 없음을 국민들이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한다”면서도 “(사퇴는) 거대 야당의 탄핵 소추로 인해 방송통신미디어 정책이 장기간 멈춰서는 상황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의 퇴임식은 사의 표명과 윤석열 대통령의 재가 소식이 알려진 지 2시간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졌다.김 위원장은 국회의 탄핵 의결 및 직무정지로 오는 8~9월 공영방송 이사진 교체가 불가능해지기 전 사퇴 카드를 썼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국회 본회의에 김 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보고할 예정이었다. 5인 합의제 기구인 방통위를 2인 체제로 운영하며 YTN 민영화 등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는 이유에서다. 국회 본회의에 탄핵소추안이 보고되면 24시간 이후부터 72시간 이내에 표결을 거쳐야 한다.국회가 탄핵소추안을 의결하면 헌법재판소 결정까지 최장 180일 동안 직무가 정지된다. 김 위원장의 직무가 정지되면 오는 8~9월로 예정된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와 KBS, EBS 등 공영방송 이사진 교체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공영방송 이사회는 차기 이사회가 새로 선출되지 않을 경우 그대로 임기가 연장된다. 김 위원장은 사퇴에 앞서 지난달 28일 기습적으로 전체회의를 열고 KBS·방문진·EBS 이사진 선임 계획을 의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