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부터 닷새간 북한이 보낸 오물 풍선은 모두 1천여 개가 발견됐다.
그런데 북한이 돌연 "쓰레기 살포를 잠정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대북 전달 살포를 재개하는 경우 오물 풍선을 다시 살포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북한은 어젯밤 김강일 국방성 부상 명의의 담화를 통해 "국경 너머로 휴짓장을 살포하는 행동을 잠정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달 28일부터 2차례에 걸쳐 쓰레기 등을 담은 이른바 '오물 풍선'을 대대적으로 살포했는데, 갑자기 이같은 행동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김강일 부상은 "한국 것들에게 널려진 휴지장들을 주워 담는 노릇이 얼마나 기분이 더럽고 많은 공력이 소비되는지 충분한 체험을 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오물 풍선'이 남측의 '대북 전단'에 대한 '철저한 대응 조치'임을 강조했다.
이어, 남측에서 대북 전단 살포를 재개하는 경우 발견되는 양과 건수에 따라 "이미 경고한대로 백배의 휴지와 오물량을 다시 집중 살포하는 것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날려보낸 오물 풍선이 지난달 28일부터 어제(2일)까지 닷새 동안 1천여 개 식별됐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달 26일 김강일 국방성 부상 담화를 통해 대북 단체의 전단 살포에 맞대응하겠다고 밝혔고 이틀 뒤 오물 풍선을 남쪽으로 날려보냈다.
그 다음날인 지난달 29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도 담화를 통해 "한국 국민의 알 권리 보장"을 위해 오물 풍선을 보냈다는 궤변을 펼치며 추가 살포를 예고하기도 했다.
이후, 실제로 그제(1일) 밤 오물 풍선의 대량 살포가 재개됐지만, 하루 만에 돌연 북한이 살포 중단을 선언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