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당 대전역점이 월 임대료 인상으로 퇴출 위기에 놓였다. 성심당 측은 “(현재 수준인) 월 1억원 이상 지불하는 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전역사 내 성심당 매장의 사용 계약이 만료된 후 처음으로 공식 입장을 낸 것이다.
성심당 측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코레일유통에서 제시하는 임대수수료 17%는 1년으로 따지면 50억 정도 되는 금액"이라면서 "그렇게 많은 세를 주고 운영하기엔 어렵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성심당에 근무하는 1000여 명의 직원들과, 사회공헌 등 성심당이 하고 있는 활동 등을 감안할 때 그렇게 많은 수수료는 부담스럽다"고 설명했다.
또, 임 대표는 “현재 임대료가 월 1억원인 상황에서 4배 이상 뛰는 것인데, 감당할 수 있겠느냐”며 “연간 임대료로 50억원이 지불된다면 다른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 현재 성심당에는 1000여명이 근무하는데, 빵 재료비와 인건비 상승 등을 감안하면 연간 50억원의 임대료를 주고는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일부 언론에선 성심당이 대전역점에서 철수하고 대전역 주변으로 임대 또는 건물 매입 등을 강구할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는데, 성심당 측은 "현재까지는 5차 입찰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이며, 아직 유찰 이후 대책을 고려할 단계가 아니"라고 밝혔다.
성심당은 "5차 입찰에서도 코레일유통과 갈등을 풀 수 없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면서 "다만, 대전시 등 유관기관에서도 관심을 갖는 만큼 우선은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최근 성심당 대전역점을 방문해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지난 17일 정부대전청사 일정을 소화하기 전 성심당 대전역점을 방문했다.
유 장관은 임영진 대표와 만나 “각 지역의 노포들이 문화관광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데 대전의 ‘성심당’이 바로 그런 곳”이라며 “문체부가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