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노사정대타협, 흔들림 없이 추진하여 청년고용 늘린다 - 청년고용 활성화, 원·하청 상생협력 등 총 8대 부문, 104개 세부과제로 구성 최문재
  • 기사등록 2016-02-23 09:27:10
기사수정

정부는 2.23(화) 국무회의를 열어 노사정 대타협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노사정 대타협 과제의 흔들림 없는 추진을 재확인하는 한편, 국회에 노동개혁 입법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노사정 대타협 과제는 청년고용 활성화, 원·하청 상생협력 등 총 8대 부문, 104개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사정위원회는 104개 세부과제에 대하여 49개는 ‘정상추진’(47.1%)중인 반면, 33개는 정부와 경영계의 추진에도 노동계가 불참(이행실적 미제출)하여 ‘부분이행’(31.7%)에 그치고 있으며, 11개 과제는 국회의 입법 등이 미진하여 ‘추가노력’이 필요”(10.6%)하다고 평가했다.

 

* 8대 부문: 청년고용 활성화, 임금체계 개편, 장시간근로 개선, 원·하청 상생, 비정규직 고용개선, 사회안전망 확충, 합리적 인사원칙 정립, 노사정 파트너십 구축


정부는 그간 과제 이행을 위해 특히, 임금피크제 및 임금체계 개편, 원·하청 상생협력, 공정한 인사관리, 청년 비정규직 처우개선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왔으나, 노동개혁 4대 입법의 지연으로 근로시간 단축, 중장년 일자리 창출, 실업급여 확충 등을 아직 완성하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임금피크제를 공공기관에 100% 도입 완료했고 민간 기업에도 확산되고 있으며, 1.29과 2.1에는 각각 공공기관과 금융공기업에 성과연봉제가 확대 시행됐다.

 

지난 1.22 공정인사 지침과 취업규칙 지침을 확정·시행하였고 2대 지침은 현장에 빠른 속도로 안착되어 가고 있다.


열정페이 근절을 위해 사업주가 준수해야 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고, 고용복지+센터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원·하청 상생협력 강화를 위한 상생결제시스템 활용에 대한 세액공제 신설, 공사부문 종합심사낙찰제 도입 등이 이루어졌다.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이 없도록 지도·점검을 강화하고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지원금이 신설됐다.

 

경영계는 어려운 경영환경에 불구하고 청년고용 확대에 적극 나서고 회원 기업 등을 대상으로 대타협 과제 실천을 권고·독려하고 있다.


청년 20만+ 일자리창조 채용 박람회, 고용디딤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소득임직원의 임금인상 자제를 통해 청년채용 확대를 권고하는 ‘2016년 임금조정 기본방향’을 발표했다.

 

임금피크제 및 임금체계 개편, 원·하청 상생협력, 비정규직 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해 기업을 대상으로 설명회·교육·홍보를 실시하고 컨설팅, 노사교섭 지원 등을 실시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는 노사가 자율적으로 협력하여 원·하청 상생협력, 임금피크제 및 임금체계 개편 등 노사정 대타협 실천이 확산되고 있다.


이날 국무회의를 주재한 황교안 국무총리는 “정부는 흔들림 없이 노사정대타협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야 한다”면서 “각 부처는 긴밀한 협업을 통해 청년고용 확대, 원·하청 상생협력 강화, 임금체계 개편 등 대타협의 핵심과제들을 차질없이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노동계도 조속히 노사정위에 복귀하여 대타협 실천에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황 총리는 “노동개혁 입법을 이번 임시국회에 반드시 처리해야 노동개혁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고 하면서 관련 국무위원은 노동개혁 입법을 포함한 민생과 안보에 관한 법안들의 국회 통과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향후에도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노사정대타협 이행상황을 정기적으로 면밀히 점검하고 우수사례를 적극 발굴, 전파하여 대타협의 현장 실천이 가속화되도록 할 예정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33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