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보쉬 테크 데이 2023(Bosch Tech Day 2023)에서 보쉬 이사회 의장 및 보쉬 그룹 회장인 스테판 하퉁 박사(Dr. Stefan Hartung)는 “다른 어떤 보쉬 공장보다 역사가 깊은 슈투트가르트-포이어바흐(Stuttgart-Feuerbach) 공장에서 수소의 미래가 곧 실현될 것”이라며 “보쉬는 수소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수소와 함께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보쉬가 모빌리티의 수소(H2)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기술 및 서비스 공급 업체 보쉬는 자사의 슈투트가르트-포이어바흐(Stuttgart-Feuerbach) 공장에서 연료전지 파워 모듈의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 파일럿(pilot) 고객사는 미국에 위치한 니콜라 코퍼레이션(Nikola Corporation)이며, 니콜라 코퍼레이션은 Class 8 수소연료전지 전기 트럭을 북미 시장에서 2023년 3분기에 선보일 예정이다.
‘보쉬 테크 데이 2023(Bosch Tech Day 2023)’에서 보쉬 이사회 의장 및 보쉬 그룹 회장 스테판 하퉁 박사(Dr. Stefan Hartung)는 “다른 어떤 보쉬 공장보다 역사가 깊은 슈투트가르트-포이어바흐(Stuttgart-Feuerbach) 공장에서 수소의 미래가 곧 실현될 것”이라며 “보쉬는 수소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수소와 함께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쉬는 전체 수소 가치 사슬에 대응한 운영체제를 갖추고, 생산 및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030년까지 보쉬는 수소 기술로 약 50억유로의 매출을 창출할 계획이다.
수소 경제를 위한 솔루션에서도 보쉬는 글로벌 제조 네트워크와 자사 독일 거점들의 역량을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독일 밤베르크(Bamberg)에 위치한 보쉬 공장은 자사의 포이어바흐(Feuerbach) 공장에 연료전지 스택을 공급한다. 또한 전기 공기 압축기(electric air compressor) 및 재순환 송풍기(recirculation blower)와 같은 중요한 시스템 구성 요소는 자사의 독일 홈부르크(Homburg) 공장에서 공급된다. 보쉬 이사회 멤버이자 보쉬 모빌리티(Bosch Mobility) 회장 마르쿠스 하인 박사(Dr. Markus Heyn)는 “보쉬는 연료전지 스택처럼 복잡한 기술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기업 중 하나”라며 “보쉬는 필요한 시스템 전문성뿐만 아니라 새로운 개발을 대량 생산으로 신속하게 확장할 수 있는 역량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연료 전지 파워 모듈의 생산은 포이어바흐(Feuerbach)뿐만 아니라 중국 충칭(Chongqing)에서도 시작된다. 여기에 필요한 부품들은 보쉬의 우시(Wuxi) 공장에서 공급될 예정이다. 보쉬 그룹 회장 스테판 하퉁 박사(Dr. Stefan Hartung)는 “보쉬는 중국과 독일에서 이러한 시스템들을 생산하는 첫 기업”이라고 말했다. 또한 보쉬는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South Carolina) 앤더슨(Anderson)에 위치한 자사의 미국 공장에서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용 스택을 생산할 계획이다. 전 세계적으로 보쉬는 2030년까지 6톤 이상의 신규 트럭 5대 중 1대에 연료 전지 파워트레인이 장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수소 경제 형성을 위한 보쉬의 제안
수소가 있어야만 기후 중립적인 세상을 만들 수 있다. 보쉬에게는 이 점이 분명하다. 따라서 보쉬는 수소 경제 구축을 강력히 지지하며 수소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2021년부터 2026년까지 보쉬는 수소 기술 개발 및 생산에 총 25억유로를 투자할 예정이다. 이는 2021년-2024년 투자 계획에 배정된 금액보다 10억유로가 더 많다. 보쉬의 사업 기회는 물론 고용 효과 또한 매우 크다. 현재 보쉬에는 3000명 이상이 수소 기술 분야에 근무하고 있으며, 그 중 절반 이상이 유럽에서 근무한다. 대부분의 고용 수요는 보쉬 내부에서, 특히 그동안 보쉬 파워트레인 사업부에서 근무한 인력으로 충원할 수 있다.
하지만 수소 사업의 향후 전망은 정치적 환경에 달려있다. 보쉬 그룹 회장 스테판 하퉁 박사(Dr. Stefan Hartung)는 미국과 같은 다른 지역의 빠른 발전 속도에 대한 균형을 위해서 유럽이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독일과 유럽 정책 입안자들에게 네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EU의 수소 생산 속도를 높여야 한다. 둘째, 글로벌 공급 사슬(supply chain)을 구축해야 하고 셋째, 경제의 모든 분야에서 수소를 사용해야 하며 넷째, 유럽 내 수소 보급을 위한 인프라를 신속하게 구축해야 한다.”
◇ 전기분해에서 시작해 수소 엔진으로 완성되는 보쉬 기술
보쉬는 준비가 돼 있으며 다른 어떤 회사와 달리 자사의 자동차 분야 경험을 수소 경제에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이 보쉬가 수소 생산에서도 수요가 많은 이유다. 2023년 초, 보쉬는 양성자 교환막을 이용한 전기분해, 즉 모바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에너지 변환 방식과 반대되는 방식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2023년 가을부터 보쉬는 1.25메가와트 프로토타입을 파일럿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계획이며, 2025년 대량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보쉬는 수소 사용을 위한 몇 가지 옵션을 모색하고 있다. 고정식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전력 및 열의 분산 공급에 사용할 수 있다. 독일 쾰른(Cologne) 인근 에어켈렌츠(Erkelenz)의 병원에서 진행되는 파일럿 프로젝트에서 보쉬는 이 기술을 사용해 전체 효율의 90%를 달성하고자 한다. 이 소형 발전 장치(micropower plant)는 처음에는 천연가스로 가동되지만 친환경 수소로 전환할 수 있다.
연료 전지 파워트레인 외에도 보쉬는 수소 엔진을 연구 중이며, 포트(port) 및 직접 분사(direct injection) 시스템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특히 무거운 짐을 싣고 장거리를 운행하는 대형 차량에 적합하다. 보쉬 모빌리티(Bosch Mobility) 회장 마르쿠스 하인 박사(Dr. Markus Heyn)는 “수소 엔진은 디젤 엔진이 하는 모든 일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 중립적”이라며 “또한 수소 기반 모빌리티에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진입을 가능하게 해준다”고 말했다.
한 가지 주요 장점은 필요한 개발 및 제조 기술의 90% 이상이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다. 수소 엔진은 2024년부터 출시될 예정이다. 보쉬는 이미 모든 주요 경제권에서 4건의 생산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2030년까지 여섯 자리 수 생산량을 기대하고 있다. 보쉬는 이 분야에서도 수소 경제를 역동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가을밤을 밝히는‘야밤득템 페스티벌’와‘행복드림축제’열리는 신정상가시장 오세요
[뉴스21 통신=최세영 ] ▲ 사진제공=울산남구청울산 남구(구청장 서동욱)는 지역의 문화·관광자원과 연계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신정상가시장에서 열정의 가을밤을 만들어줄 ‘야밤득템 페스티벌’과 떡 본김에 잔치를 주제로 한 ‘제11회 행복드림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문...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 종합정비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뉴스21 통신=최세영 ] ▲ 사진제공=울산 남구청울산 남구(구청장 서동욱)는 구청장실에서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 종합정비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지난 20일 발표된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 마스터플랜’의 첫 단계로, 개운포 경상좌수영성의 역사...
문체부에 '한궁' 등 국내 창시 전통생활체육 육성 정책 마련 촉구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수현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공주·부여·청양)은 29일(수)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등 종합감사에서 "한국에서 창시된 전통생활체육 종목에 대한 체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K-스포츠 육성 정책 수립을 촉구했다. 박수현 의원은 "한궁(韓弓)은 장애인 통합체육, 치매 예...
울산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권순용 부위원장, ‘학교급식 현장 점검 및 조리 실무사 의견청취’간담회
[뉴스21 통신=최세영 ] ▲ 사진제공=울산광역시의회울산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권순용 부위원장은 30일, 개운초등학교에서 ‘학교급식 현장점검 및 조리실무사 의견청취’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학교급식 환경을 직접 점검하고 조리실무사 근무 여건을 세밀하게 확인하여, 현장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
해경 드론조종인력 600명 달하지만, 해경파출소 무인드론 보급은 7.2% 불과
사람의 눈과 손이 미치기 어려운 해양 영역에서 무인드론은 구조·순찰·감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지만, 정작 해양 안전을 책임지는 해양경찰청의 일선 파출소에 보급된 무인드론은 매우 저조해 무인드론 활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해양경찰청 내 드론조종이 가능한 인력이 ...
산안비 ‘눈먼돈’ 되지 않으려면, 고용노동부 관리감독 강화해야
최근 5년간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이하 산안비) 집행 규정을 위반한 사업장 4곳 중 1곳 꼴로 중대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안비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원청사가 의무적으로 계상·사용해야 하는 비용이다. 안호영 국회의원(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 전북 완주·진안·무주)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정읍시,미국 LA서 30만달러 규모 MOU 체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가 대표 농특산물인 지황의 해외 판로 확대를 위해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30만 달러 규모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1억 7000만원 상당의 지황 가공상품 수출을 추진하는 성과를 거뒀다. 수출 규모는 약 1억 7000만원이다. 수출 품목에는 정읍지황을 원료로 한 지황차, 숙지황 현미밥, 숙지황 현미스낵을 비롯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