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역사 왜곡 주장을 담은 교과서를 오늘 승인할 것으로 보인다.
'강제동원'에서 '강제'라는 말을 지우고,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쓴 지도가 초등학교 교과서에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일본 전범기업이 빠진 강제동원 배상에 대해 "미래지향적인 결단"이라며, "일본의 호응을 기대한다"고 했다.
하지만 정부 발표 사흘만에 일본 외무상이 "강제동원 표현이 적절치 않다"고 한 데 이어, 이번엔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도 '강제'라는 단어가 삭제될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교 3·4·5·6 학년용 사회 교과서로, '조선인과 중국인을 강제로 끌고 왔다'는 표현을 '참여했다' 또는 '합류했다'로 바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다. 심지어 자발적으로 '지원했다'고 쓴 교과서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제로 끌고 간 게 아니라 모집이었다고 주장해 일본 정부가 책임을 벗어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독도에 대한 왜곡은 더 확대된다.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주장이 모든 교과서에 실리고,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한 지도가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부터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출판사 3곳이 쓴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검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중대한 변화가 있다면 당연히 문제 제기를 할 것"이라며 "전례에 비춰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교과서 발표에 맞춰 주한 일본대사를 초치, 즉 불러 항의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본이 지난 10년간 반복하고 있는 입장"이라며 "일희일비할 사안은 아니"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