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붉은부리갈매기, 사계절 이동경로 최초 확인 - 러시아 북동부 번식, 월동은 필리핀까지 최장 9,054km 이동 김만석
  • 기사등록 2023-02-23 11:18:03
기사수정


▲ 사진=붉은부리갈매기 겨울깃/환경부 제공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 국가철새연구센터*는 최근 동해안에 월동하는 '붉은부리갈매기'의 사계절 이동경로를 추적한 결과, 러시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를 비롯해 필리핀까지 최장 9,054km를 이동하여 월동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 국립생물자원관은 '19년 4월 인천 옹진군 소청도에 국가철새연구센터를 개소하여 철새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서해안 지역의 과자 먹는 새'로 유명한 '괭이갈매기'의 4계절 이동현황에 대해 '20년 5월 공개한 바 있음


갈매기과에 속하는 붉은부리갈매기는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하는 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해안가나 습지에서 겨울을 보낸다. 낙동강 하구를 비롯한 부산, 포항 등 남동해안 일대에서 많이 보여 이 지역 프로야구단 응원가의 가사 속에 언급된 '부산갈매기'가 이 종을 뜻한다.


붉은부리갈매기는 부산 등 남동해안 일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사람이 던져주는 과자를 날면서 받아먹는 새'로 알려져 있다.


이 새의 이동과 관련하여 유럽 지역 이동현황에 대해서는 지난해 네델란드에서 논문을 발표한 적은 있으나 동아시아 지역 사계절 이동현황에 대해서는 이번 국립생물자원관의 조사 결과가 세계 최초여서 전 세계적으로 학술적인 의의가 크다.


국가철새연구센터는 2021년 3월, 2022년 1월과 3월에 경주와 포항에 서식하는 붉은부리갈매기 9마리에 위치추적발신기를 부착하고 약 2년간 이동경로를 추적했다.


이들은 3월 중순에서 5월 중순 사이에 북상을 시작, 적게는 13일에서 많게는 72일을 날아서 그해 5월 말부터 6월 중순 사이 러시아 하바로브스키 변경주의 북동부 지역, 마가단주 및 러시아 사카(야쿠티야) 공화국의 동남부에 위치한 콜리마강 인근 습지에 도착하여 번식을 했다.


이후 7월 초에서 8월 초 사이에 남하를 시작, 약 76~162일을 날아서 그해 10월 중순에서 12월 사이에 우리나라 경주, 포항, 울산, 부산 일대에 4마리가 월동했으며, 그 외 1마리는 필리핀 루손섬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어 총 5마리의 경로를 확인*했다.

* 나머지 4마리는 러시아에서 추적 장치 신호가 멈춤 


러시아에서 우리나라 월동지까지 이동거리는 평균 5,687km이며, 최장 거리인 필리핀까지는 9,054km를 이동한 것이다. 


허위행 국가철새연구센터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붉은부리갈매기의 국가 간 이동경로와 서식지, 생태정보는 향후 붉은부리갈매기 개체군의 보호·관리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관련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국가철새연구센터는 우리나라 철새의 이동 경로에 대하여 위치추적발신기 등 첨단기기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0613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제2 마곡' 방화뉴타운, 정비사업 탄력
  •  기사 이미지 장윤정·도경완, 120억 '아페르한강 펜트하우스' 전액 현금 매입
  •  기사 이미지 우크라이나, 미사일 위협으로 인해 여러 지역에 공습 경보가 발령되었다.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