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유기농마늘 우량종구 생산 위해 주아관리에 힘써야 - - 유기농업연구소, 종구 생산을 위한 주아관리 방법 제시 - 조광식 논설위원
  • 기사등록 2022-08-16 11:34:37
기사수정


▲ 마늘 주아. 경상북도 제공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유기농마늘 재배농가에서 종구갱신을 위한 주아 보관 시 해충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유기농마늘 재배 시 종구를 계속 사용할 경우 바이러스와 병해충에 감염돼 점차 수량이 낮아지는데 주아재배를 통해 종구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면 바이러스 밀도를 낮추고 수량을 높일 수 있다.

 

또 주아재배는 생산비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는 종구비용을 70% 정도 절감해 경제적이며 상품성이 높은 마늘을 생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아재배는 생육이 좋고 병해충이 없는 건전포기에서 채취하고 마늘 수확 전 주아를 가급적 길게 잘라 매달아 후숙시킨다.

 

주아가 충분히 마르면 화경의 기부를 잘라 총포 상태로 망사 등에 담아 통풍이 잘 되고 서늘한 곳에 건조해 보관하는 것이 좋다.

 

유기농업연구소는 우량 종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보관 중 병해충 예방에 힘써야 하며 주아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해충방제를 철저히 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마늘은 다른 작물과는 달리 종구비용이 전체 생산비의 30% 정도 차지하는데 저장 중 병해충 피해를 막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철저한 관리가 중요하다농업현장에서의 애로사항을 우선적으로 연구해 농업인의 소득을 늘리는데 지속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9136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하르키우 주에서 폭발음 울리다.
  •  기사 이미지 대북 확성기 일시 중단, 北 ‘오물 풍선’300여 개 살포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시장 “아산시, 항공우주기술 새 전기 시작점 되길”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