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울산시, ‘제2회 울산 바이오헬스산업 포럼’개최 - 22일, 바이오헬스산업 산·학·연·병 관계자 한자리 우정석 울산취재본부장
  • 기사등록 2021-12-22 08:16:36
기사수정



(뉴스21통신/우정석기자) = 울산의 게놈 기반 바이오산업 중심 도시 도약을 위해 지역 산···병이 한자리에 모인다.

울산시는 1222일 오후 3시 울산 롯데호텔에서 조원경 경제부시장, 임진혁 울산연구원장, 구자록 울산정보산업진흥원장, 울산 바이오헬스산업 관련 산···병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 바이오헬스산업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처음 개최한 이 행사는 울산이 게놈 기반 바이오산업 중심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연결망 구축, 정책 제안·자문 등을 진행해 왔다.

특히 올해는 정부의 국가바이오빅데이터구축 정책을 기반으로 울산시가 추진해야 할 구체적인 발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는 김병철 본부장(클리노믹스)울산 게놈 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사업내용발표를 시작으로 이관익 단장(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빅데이터단)국가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김태형 상무(테라젠바이오)유전체 빅데이터 산업동향등의 순으로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주제발표에 이어 울산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중심으로 바이오헬스산업 분야에서 울산이 나아갈 방향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다.

토론은 최한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가 좌장을 맡고 김학민 프로카젠 연구소장, 김정완 에이테크 대표이사, 김병철 클리노믹스 본부장, 이관익 보건산업진흥원 단장, 김태형 테라젠바이오 상무가 참여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산···병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수렴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헬스산업의 육성 방안과 유전체·생명 관련 기업 유치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국내 최초로 지난 2016년부터 만명 게놈 프로젝트를 추진해 올해 4월 한국인 만명 게놈 해독을 완성했다. 특히 지난해 7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어 100억 원 규모의 게놈 데이터 분석 전용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와 함께 실증사업을 추진 중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7364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말도등대 탐방 행사 안전성 논란 종결, 박경태 군산 시의원 시민 안전 최우선 강조
  •  기사 이미지 서울시지체장애인협회 종로구지회 2024년 문화체험 나들이
  •  기사 이미지 세종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원은 어디일까?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